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양승국 변호사의 세상바라기

백범이 아니라 비범했던 김구의 승려 생활

[양승국 변호사의 세상 바라기 97]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백범이 치하포 사건으로 인천 감옥에서 수감 중 탈옥하여 전국을 떠돌 때, 백범은 잠시 마곡사에서 승려로 출가하기도 합니다. 불교에 대한 뜻도 있었겠지만, 몸을 숨기기 좋다는 것도 계산에 넣었겠지요. 백범의 법명은 원종(圓宗)입니다.

 

백범에게 공손하게 출가를 권유하던 하은당 스님은 백범이 일단 머리를 깎자, 태도가 180도 돌변하여 백범을 구박하기 시작합니다. 백범이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욕을 하고, 장작 패고 물 길어오는 온갖 궂은일을 시킵니다. 백범은 6달 만에 마곡사를 떠납니다. 당장 환속한 것은 아니고 금강산으로 들어가 좀 더 공부를 하겠다는 구실로 마곡사를 떠난 것이지요.

 

 

백범이 떠난 뒤 하은당 스님은 사고로 죽습니다. 석유통 속의 기름이 질이 좋은지 나쁜지 알아본다며 불붙인 막대를 석유통에 넣었는데, 아! 글쎄! 석유통이 폭발하는 바람에 곁에 있던 보경당 스님, 포봉담 스님과 함께 저 세상으로 간 것이지요. 저런! 그렇게 하더라도 부처님이 보호해주실 것으로 믿었나? 세 스님이 함께 저 세상으로 가자 마곡사는 총회를 열어 사찰 재산을 관리하고 법통을 이어갈 스님으로 원종 스님을 뽑습니다.

 

원종 스님이라고 하니까 금방 머리에 안 들어오지요? 백범입니다. 백범이 마곡사에서 출가하여 6개월 밖에 없었는데, 백범을 마곡사 법통을 이어갈 스님으로 뽑다니요?! 마곡사 불자들도 백범의 비범함을 알아보았군요. 백범을 뽑았으니 찾아야 할 것 아닙니까? 마곡사에선 금강산으로 사람을 보내 백범을 찾지만, 백범이 금강산에 있을 리가 없지요. 금강산 들어간다는 것은 단지 마곡사를 떠날 구실에 불과했으니까요. 결국 마곡사의 막대한 재산은 절의 공동소유가 되었다고 하네요.

 

마곡사를 떠난 백범은 서울로 향합니다. 그런데 조선 시대에 승려는 서울 도성 출입이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백범은 사대문 밖의 절을 돌아다니다가 경북 풍기에서 온 혜정이란 스님을 만납니다. 그리고 같이 길을 떠납니다. 평양 구경을 갈 거라던 혜정과 길동무가 된 것이지요.

 

해주 수양산 신광사 부근 북암(北庵)에 머물 때 백범은 혜정에게 자기 부모가 잘 계신지 보고 와 달라고 합니다. 그런데 보고만 오라고 한 혜정이 백범의 부모와 같이 돌아옵니다. 아들이 탈옥한 뒤 생사조차 모르던 부모님으로서는 백범을 안다는 스님이 찾아왔으니 그냥 돌려보낼 리가 없지요. 부모님은 혜정을 쫓아가야 아들 소식을 알 수 있겠다는 희망에 막무가내로 혜정을 따라온 것입니다.

 

 

할 수 없이 백범은 부모님을 모시고 평양으로 갑니다. 그리고 전효순에 의해 대보산 영천암의 방주(房主)를 맡게 됩니다. 전효순은 나중에 평남 개천군수를 지낸 사람인데 백범에게 자기 손자들 공부도 맡길 겸 하여 영천암 방주를 시켰지요. 그런데 애초 불교의 진리를 깨치고자 스님이 된 것이 아니기에, 백범은 영천암 방주를 하면서도 대놓고 고기를 먹었습니다.

 

그리고 염불보다 잿밥이라는데, 백범은 염불보다는 평양의 풍류객들과 어울려 시를 짓고 놀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백범을 걸시승(乞詩僧)이라고 했다네요. 그런데 당시 유교국가에서 시객(詩客)들은 스님을 깔보지 않겠습니까? 백범은 이런 시객들을 조롱하는 시도 짓습니다.

 

儒傳千歲佛千歲 유전천세불천세

유교가 천년을 내려왔다면 불교 역시 천년이요

我亦一般君一般 아역일반군일반

내가 일반대중이라면 그대들 역시 일반대중이라네

 

하하! 당시 백범의 시를 듣던 시객들의 표정이 어떠했을까요? 백범의 시는 당시 평양 성내에 널리 퍼져 기생들도 술자리에서 종종 백범의 시를 노랫가락에 올려 불렀다는군요. 방주 노릇을 하는 동안 백범은 머리를 깎지 않습니다. 아버지가 깎지 못하게 한 것이지요. 결국 백범은 장발스님으로 지내다가, 1899년 10월 승복을 벗고 부모님을 모시고 해주 텃골로 돌아갑니다.

 

 

1년 남짓의 승려 생활을 마친 백범은 이후 1903년 2월 무렵 우종서 전도사의 권유로 기독교에 귀의합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을 때에는 백범은 진남포 에프워스 청년회 총무로 지역 대표 자격으로 서울 상동교회에 파견되어 나라의 장래를 논의하기도 합니다. 이 때 상소(上疏) 투쟁을 벌이면서 종로에서 칼을 휘두르는 일본 순사대에 기왓장과 벽돌로 맞서면서 육박전을 벌이기도 하였지요. 이후 백범은 교육만이 민족의 살 길이라 황해도로 돌아와 신교육에 매진합니다. 조선이 망하지 않았다면 아마 백범은 교육자로 남아있었을 것입니다.

 

“나는 그리스도인인 고로 거짓 없는 내 양심은 내 죽음을 초월하고 나라를 사랑했습니다. 내가 만일 어떤 자의 총에 맞아 죽는다면 그것은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많은 열매를 맺듯 이 나라에 많은 애국자를 일으킬 것입니다. 눈물과 피로 우리들이 갈망하는 조선을 하느님의 나라로 세워봅시다.”

 

백범이 1946년 《활천(活泉)》이라는 기독교 잡지에 쓴 글입니다. 동학에 입교하여 아기 접주로 동학혁명에 참여하고, 스승 고능선에게 유교를 배우고, 스님이 되어 한 암자의 방주가 되더니, 이제는 기독교 교육자로 교육에 온 힘을 다하고... 백범일지를 읽다보면 영화 같은 백범의 삶에 경이로운 눈길을 돌리게 하는데, 종교도 두루 섭렵하셨네요. ^^ 김구 선생의 호 백범(白凡)은 백정 같이 낮아지고 평범한 일반 민중과 같이 하겠다는 뜻도 담겼을 텐데, 그러나 실제 백범의 삶은 비범(非凡) 그 자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