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화보] 누명으로 죽은 충민공 임경업장군의 유적을 찾아서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임경업장군(1594 ~ 1646)은 조선중기 임진왜란 중에 태어나 조선의 변방을 지키는 장군으로 살다가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이후 명청 교체기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명나라의 편에 들었다가 결국 청으로 압송되었고, 도중에 또 탈출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돌아왔으나, 억울한 누명을 쓰고 고문을 받다가 죽은 장군이다. 그는 억울하게 죽었으나, 50여년 뒤 숙종때 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복권된 뒤 임금으로부터 충민공(忠民公) 시호를 받았고, 임금으로부터 사액현판을 받는 등 재평가 되었다. 그리고 오랫동안 영정만 있던 작은 사당과, 초라한 모습이던 그의 묘가 1981년 전두환정권에서 정화사업이 이루어져 오늘의 모습이 되었다.

 

임진왜란 중 태어난 임경업장군은 광해군10(1618)년 무과에 급제하여 함경도 갑산에서 복무를 시작으로 1620년 삼수의 소농보권관으로 부임하여 군량과 군기를 잘 갖추는 등, 무장으로 공을 세워 절충장군에 올랐다. 그 뒤 직위가 올라 첨지중추부사가 되어, 인조반정 당시 일등 공신인 김류의 휘하에 있다가 1624년 이괄의 난을 진압하고 돌아와 진무원종공신1등이 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이후로 행첨지중추부사 겸 우림위장 그리고 방답첨사가 되었고, 1626년에는 전라도 낙안군수로 부임하였다. 그는 낙안군수로 임명받고 수시로 출범하는 왜구들로부터 백성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을 주변 야산 바위를 깨서 지금처럼 평지에 낙안읍성 석성을 쌓았다. 그 낙안읍성이 오늘 한국의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되었고, 동시에 한국의 주거문화와 마을을 알려주는 세계문화유산이 되었다. 평지에 석성을 쌓은 그의 공으로 낙안마을은 왜구들의 침탈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받을 수 있었고, 그의 공을 깊이 새겨 낙안읍성에는 백성들이 세워준 임경업장군을 기리는 공적비가 있다.

 

낙안군수를 거친 이후 1629년 평양중군 용양위부호군, 1631년 검산산성 방어사, 1633년 청북방어사겸 안변부사로 부임하였다. 이때 백마산성을 수축하여 북방의 방비를 튼튼히 하였다. 임경업장군은 명나라 말기 명청간 분쟁에 청나라 모르게 명나라에 정보를 주는 등 명나라에 공을 세워 명나라의 총병벼슬도 받았다. 그 뒤 돌아가신 아버지의 탈상 때 고향으로 갔다가 시묘살이를 마치고, 1634년  부호군으로 복직되어  의주부윤 겸 청북방어사로 임명되어 북방지역 방어와 국경무역을 책임지며 공을 세워 조정으로부터 많은 포상금도 받았고, 북방에서 탈출해 오는 유민들을 모아 12곳에 둔전을 개설하는 등, 북방의 안전에 공을 세워 가의대부(家義大夫)에 올랐다.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임경업장군은 백마산성을 굳건히 지킴으로, 청군의 한양으로의 진로를 늦추는데 전력을 다하였다. 그러자 청군은, 백마산성을 그냥둔채 기마병을 앞세워 직접 한양으로 진격하였고, 인조는 강화도로 미쳐 피하지 못하고 급히 한강을 건너 남한산성으로 피하였다. 그리고 결국 남한산성에서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항복하였다. 병자호란 이후로도 임경업장군은 친명배금파의 선봉에 서서, 명나라와 내통하여, 명군의 피해를 최소로 막아주었으며, 어쩔 수 없는 청나라의 병력 동원에도 실제 명군과 전투에는 매우 소극적이었다.

 

1639년 청은 명의 근거지인 금주위를 공격하기 위하여 조선에 병력과 군량미 원조를 강력히 요구하여 조선은 어쩔 수 없이 임경업과 이완을 상장과 부장으로 삼아 파견하였는데, 임경업장군은 명나라 군과 싸우지 않고, 청나라를 속이는 등 친명배금책을 썼다. 이러한 사실들이 발각되어 청나라는 임경업장군을 체포하여  압송하던 중 장군은 밤을 틈타 도망하였다. 도망친 임경업장군은 조선으로 돌아와 강원도 양구의 한 골짜기에 한 동안 승려로 변장하여 초막을 치고 숨어서 살았다.

 

그리되자 청나라는 도망친 임경업장군을 다시 잡기 위하여, 그의 처와 형제 등 가족들을 체포하여 청나라로 압송하였다. 이때 잡혀갔던 그의 처 이씨는 심양의 감옥에서 자결하였다. 그렇게 부인을 잃은 임경업장군은 명나라로 들어가 등주도독 황종예의 휘하 평로장군이 되어 청군과 싸웠다. 그러나 청나라가 결국 북경을 함락하고 명나라가 망해버리자. 결국 1645년 임경업장군도 붙잡혀 북경으로 압송되었다. 청나라는 임경업장군의 지략과 충성을 아껴 청나라에서도 장군으로 중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심기원 등 반역사건이 생겼고, 임경업은 그와 연루되었다는 누명을 쓰고 조선으로 송환되었다. 1646년 6월 임경업은 죄인이 되어 한양에 도착하여 인조의 친국을 받았고, 심기원의 옥사사건과 관련하여 그로부터 뇌물을 받았고, 청나라로 압송 중 탈출하여 명나라 장군의 휘하로 들어갔던 사건이  왕의 명령에 반하여 남의 나라로 들어간 것으로 간주되어 국법을 어긴 죄를 쓰고 고문을 받는 중 모진 매를 맞고 죽고 말았다. 그 때는 그의 나이 53세 때이며 그의 주검은 고향 충주의 선산에 뭍히게 되었다.

 

임경업장군은 당시 조선이 명나라에 사대하고 청나라를 무시하는 친명반청의 사회분위기 속에서 큰나라를 섬기는 사대의  명분과 의리를 따르고자 했던 고집센 무장으로 살았지만, 당시 국제정세에는 어두운 장군이었다. 당시의 명분과 의리로 불 때에는 망해가는 명나라를 섬기고 따르는 것이 맞다고 여겼다. 당시 조선의 지배층의 생각은 명나라는 유교 성리학을 바탕으로 세운 세계의 종주국이었고, 조선은 명나라의 뒤를 이은 제1 제후국으로 소중화국으로의 자부심을 가지고 살았다.

 

따라서 유교의 종주국인 명나라가 망하더라도 그 뒤를 잇는 나라는 조선이라는 긍지를 가지고 살고자 하였다. 이런 생각때문에 새롭게 일어난 청나라를 세계의 중심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청나라는 유교의 종주국을 침범한 야만국으로 여겨 조선이 막을 내리는 날까지 마음으로는 따르려 하지 않았다. 임경업장군도 그러한 사상적 배경 아래 망해가는 명나라에 끝까지 충성하고자 하였으며 청나라에 항복한 병자호란을 부끄러워 하였다.

 

그는 무장으로서는 힘, 지조, 용기가 뛰어난 장군이었으며, 살아서 백성들과 함께 살았던 그의 무용담은 소설형식으로 쓰여져 백성들로부터 사랑받고 널리 읽혔다. 그러나 억울하게 죽은 뒤 50여년  세월이 흘러 숙종 23년(1697) 숙종은 태장으로 죽어간 임경업장군을 복권하였고, 그의 공은 그의 고향이며 묘가 있는 충주에 충렬사(忠烈祠) 사당을 지어 추모하였다. 그리고 그가 근무했던 북방의 선천에는 충민사(忠民祠) 북방의 백마산성에는 현충사(顯忠祠)를 지어 그의 충성심을 크게 인정하였다. 숙종은 그의 시호를 충민(忠民)으로 정하여 주었다.  그리고 임경업장군이 도망친 뒤 청나라에 인질로 붙들려가 취조받던 중 자결한 임경업장군의 부인에게도 충절과 지조를 지킨 공에 정려비를 내려 칭송하였다.

 

충주 현충사 임경업장군 기념관에는 그가 쓰던 유물로 큰칼이 있다. 

그 칼에 새겨진 추련도 명문은 그의 충성심을 알 수 있다.

 

때여, 때는 다시 오지 않나니,

한번 태어나서 한번 죽는 것이 바로 여기에 있도다.

장부 한평생 나라에 바친 마음

석자 추련도를 심년동안 갈고 갈았도다.

                        추련도 명문 해석은 임경업장군 기념관에서 따옴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