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기록물에서 되살아난 북한음악을 연주한다

국립국악원 ‘기록과 상상’, ‘북녘의 우리소리’, 국악박물관 북한음악자료실 개실 기념
북한음악 기록물 재현해 2회에 걸쳐 공연으로 선보여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북한음악의 자료를 실제 연주로 무대에 재현하는 특별한 공연이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국악박물관의 북한음악자료실 개실을 기념해 오는 8월 7일(금)에는 ‘한민족 음악회 기록과 상상’을, 8월 11일(화)에는 ‘북녘의 우리소리’를 각각 우면당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남북 분단 이후 악보와 음원 등으로 남겨진 북한음악 관련 자료를 국립국악원이 입수해 무대에 되살려 선보이는 연주로, 해설 등을 더해 관객들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전설로 남은 북한 음악가의 음악 유산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연주로 무대에 재현하는 ‘기록과 상상’ (8.7.(금), 20시)

 

8월 7일(금),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예술감독 계성원)의 연주로 선보이는 ‘기록과 상상’은 분단 이후 전통을 계승하며 한민족 음악의 정체성을 이어간 대표적인 음악가 4인(최옥삼, 정남희, 리건우, 김순남)의 작품을 조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민족관현악 ‘칼춤’은 가야금 명인이었던 최옥삼이 당대 최고 무용가로 꼽히던 최승희의 무용 반주음악으로 창작해 《조선민족음악전집(무용음악편1)》에 수록한 작품이다. 개량된 민족악기의 독특한 음색과 색다른 장단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가야금협주곡 ‘평양의 봄’은 북한 가야금 산조의 전형으로 꼽히는 정남희가 작곡한 순수 기악곡으로 1950년 북한 민족음악의 수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소프라노와 함께하는 관현악곡도 눈에 띈다. 동시대 작곡가들에 견주어 대담하고 전위적인 음향을 구사했던 김순남 작곡의 ‘자장가’에서는 서양음악과 전통성의 절묘한 균형을 살린 민족음악에 대한 고뇌를 느껴 볼 수 있다. 이건우 작곡의 ‘동백꽃’에서는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해, 당시 체제 선전이라는 음악의 기능적인 면을 벗은 소박한 가사와 서정적인 선율로 순수한 음악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이번 무대에 한민족 음악에 이바지한 윤이상의 작품도 연주된다. 70살을 넘긴 윤이상이 작곡한 ‘Kammer Sinfonie No.1'은 서양음악에 음악적 모국어를 녹여내기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강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 전통 음악에 근거한 가장 ‘윤이상다운’ 작품으로 평가받는 곡이다.

 

이번 공연은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지휘를 배운 박태영 수원대학교 교수가 지휘를 맡고, 평양 국립교향악단 피아니스트 출신인 김철웅 연주자가 사회를 맡아 공연의 깊이를 더하고 관객들의 이해를 높일 예정이다.

 

1950~60년대 악보와 음원을 토대로 최초로 재현해 선보이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북녘의 우리소리’ (8.11.(화), 20시)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예술감독 김영길)은 8월 11일(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북한의 50~60년대 악보와 음원을 연주로 재현한다. 음원을 재현해 선보이는 곡으로는 ‘박예섭 거문고 산조’와 ‘기성팔경’, ‘온정맞이’, ‘절구질소리’이며 악보를 재현해 연주하는 곡은 ‘신아우’와 ‘새봄’으로 모두 최초로 공개하는 곡이다. 공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번 공연을 기획한 국립국악원 문주석 학예연구사가 해설을 맡았다.

 

 

 

평양 출신의 박예섭은 안기옥에게 거문고를, 박동실에게 판소리를 사사해 악보로 남겼고, 100여 곡을 작곡해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이번 공연의 음원은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박예섭의 거문고 연주를 녹음한 것으로, 약 7분 분량의 음원을 국립국악원이 민속악단 이선화가 채보해 거문고 연주로 선보인다.

 

평양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기성(箕城)’의 유명한 여덟 곳을 노래한 ‘기성팔경’과 온천을 오가며 부르던 노래인 ‘온정맞이’, 여성들이 절구질하면서 부르던 ‘절구질소리’등 음원으로 남겨진 다양한 북한의 민요도 무대에 선보인다. 민속악단의 서도민요 명창 유지숙 악장과 김민경, 장효선의 노래로 평양의 풍경과 박력 있고 힘찬 소리를 전할 예정이다.

 

 

 

1961년 조선음악출판사에서 발간한 악보 ‘신아우’와 ‘새봄’도 민속악단의 연주를 통해 무대에 되살린다. ‘신아우’는 느리고 무거운 느낌의 남한 연주에 견주어 빠른 속도와 밝고 경쾌한 선율 진행이 특징이다. ‘새봄’은 가야금 산조의 안기옥 명인이 황해도 농민들과 생활하며 통일의 봄날이 오길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작곡한 작품이다. 다양한 셈여림의 활용으로 음악의 활기를 높인 ‘새봄’의 연주를 끝으로 이번 공연을 마무리한다.

 

임재원 국립국악원장은 “기록으로 남겨진 과거의 유산을 이 시대 공연으로 재현해 한민족 전통 음악의 생명력을 더욱 높이고, 미래의 다양한 창작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이 선보이는 ‘기록과 상상’은 8월 7일(금) 밤 8시, 민속악단이 꾸미는 ‘북녘의 우리소리’는 8월 11일(화) 밤 8시, 모두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선보이며 국립국악원 누리집을 통해 예약할 수 있다. 생활 속 거리 두기로 객석 띄어 앉기로 관람할 수 있다. 관람료는 1만 원~2만 원 (02-580-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