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광산김씨 예안파 김효로 집안, ‘군자의 길을 걷다’

100년 동안의 일기와 요리책 수운잡방, 실용적 가풍의 명문 종가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관3 ‘가족’ 전시 개편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윤성용)은 한국국학진흥원(원장:조현재)과 함께 《군자의 길을 걷다-광산김씨 예안파 김효로 집안의 가족 이야기》전시를 2020년 8월 5일부터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관3 ‘가족’ 코너에서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광산김씨 예안파 김효로 집안을 중심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가계 계승과 집안 대대로 다져진 가학(家學)의 전승이라는 주제로, ‘김효로 예조계후입안’, ‘김연 문과급제 홍패’(이상 보물 제1018호) 등 보물 15건과 4대 100여 년 동안 대대로 쓰인 《계암일록》, 《매원일기》 등 일기자료,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요리책 중 하나인 《수운잡방》(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5호) 등 각종 문집과 고문헌 자료, 민속품 등 260여 점이 소개된다.

 

 

 

□ 입향조 김효로부터 시작된 퇴계 이황과의 인연과 가계 계승

 

광산김씨가 예안(禮安)에 정착한 것은 21세 김효로(金孝盧, 1454∼1534) 때부터다. 김효로는 26살 때 생원시에 합격하고 평생을 독서를 즐기며 살았는데, 퇴계 이황은 그를 청렴결백의 신념을 굳게 지킨 군자(君子)라 칭송하였다. 퇴계와의 이러한 인연으로 김효로의 아들 김연, 김유와도 교류하였고, 손자인 23살 김부필ㆍ김부의ㆍ김부인ㆍ김부신ㆍ김부륜은 퇴계의 문하에 들어가 제자가 되었다. 특히 23살 다섯 형제는 외손 금씨 2명과 함께 오천의 일곱 군자라 칭송받았다. 광산김씨 가계 계승을 보여주는 자료로 오천고가세적(烏川古家世蹟), 후조당 현판(後彫堂懸板) 등이 전시된다.

 

□ 탁청정 김유와 손자 김령이 남긴 요리책 《수운잡방》

 

광산김씨 예안파는 전통적인 학문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부분에도 관심이 많았다. 광산김씨 예안파가 남긴 《수운잡방(需雲雜方)》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요리책 가운데 하나로, 모두 121종에 달하는 술과 음식 만드는 법이 담겨 있는데, 이 가운데 86종은 김유가, 35종은 손자 김령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운잡방》은 ‘구름이 하늘로 올라가는 때에 쓸만한 방법’이라는 《역경(易經)》의 구절에서 따온 말로, 김유는 요리책을 남긴 이유에 대해 손님을 접대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수운잡방》에는 조선 시대의 음식문화를 알 수 있는 여러 음식이 수록되어 있는데, 고추가 전래하지 않은 때라서 매운 음식이 일절 없는 점이 주목된다. 이 책에는 증류주인 소주를 비롯한 다양한 술 만드는 법, 장류 제조법, 김치 제조법, 다양한 국을 끓이는 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수운잡방》(복제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5호)과 이 책에 수록된 전통음식인 ‘치저[꿩고기 김치]’, ‘삼색어아탕[은어, 새우, 녹두묵을 넣어 끓인 탕]’ 등의 재현품이 전시된다.

 

 

 

□ 4대 100년 동안의 고집, 생활사 자료 저장소 – 일기(日記)

 

광산김씨 예안파 집안의 가풍(家風)은 실용적인 가학의 전통과 집안의 좋은 전통을 꾸준히 지켜나갔다는 점이 특징이다. 광산김씨 예안파는 4대에 걸쳐서 일기를 썼는데, 24세 김령의 《계암일록(溪巖日錄, 1603~1641)》, 《정미일록(丁未日錄, 1607)》, 25세 김광계의 《매원일기(梅園日記, 1603∼1645)》, 26세 김염의 《묵재일기(默齋日記, 1636∼1640)》, 26세 김선의 《여온일기(汝溫日記, 1639∼1644)》, 27세 김순의의 《과헌일기(果軒日記, 1662∼1714)》가 그것이다.

 

이들은 1603년부터 1714년까지 4대에 걸쳐 무려 100여 년간의 일기를 남겼다. 이들 일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국난 시의 의병활동 기록, 예안의 양반가문과 지방관의 갈등, 재산분쟁 기록, 손님맞이와 제사 지내기, 질병 치료와 식생활 등 생생한 생활사 자료들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계암일록》과 《매원일기》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한글로 뒤쳐 펴내 일반인들도 당시 일기를 쉽게 접할 수 있다.

 

□ 중요한 일은 가족들이 함께, 집안의 좋은 전통은 대를 이어 지속시키다

 

광산김씨 예안파 집안의 가풍은 실용적ㆍ민주적이었지만, 지켜야 할 값어치는 고집스럽게 지켜나갔다. 여러 문헌 자료를 통해 남녀 성별을 가리지 않고 가족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일하는 실용적이고 민주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의 국난에는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국가에 헌신하였다. 광산김씨 예안파 사람들은 자신보다는 남을, 가족보다는 나라와 사회를 먼저 생각하는 실천적인 군자의 삶을 사는 한국의 명문 종가의 하나다.

 

 

 □ 전시개요

 

ㅇ 전시제목 : 광산김씨 예안파 김효로 집안의 가족 이야기-군자의 길을 걷다

ㅇ 전시기간 : 2020. 8. 5.(수)〜 2021. 5. 31.(월)

ㅇ 전시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관3 ‘가족’ 마당

ㅇ 전시유물 : ‘김효로 예조계 후입안’(보물 제1018호), ‘후조당 현판’, 《계암일록》, 《매원일기》 등 80여 건 260여 점

* 국가 및 도지정 문화재 모두 17건 30점 전시

보물 제1018호 광산김씨 예안파 고문서(15건 16점)

경북도 유형문화재 제64호 후조당유물(1건 1점), 제320호 설월당 종택 소장 고문서(4건 1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