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신라ㆍ고려 절 황룡사에서 금동봉황장식 자물쇠 출토

금동자물쇠, 봉황의 비늘이나 날개 깃털 등의 무늬를 세밀하게 표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서회랑 서편 발굴 성과 온라인 설명회 25일 낮 2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경주 황룡사터(사적 제6호)는 지난 1976년부터 1983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금당터와 목탑터 등이 있는 중심구역과 강당 북편지역 등에 대한 발굴을 진행한 바 있다. 서회랑 서쪽지역은 당시 조사단 사무실이 있던 장소로, 사역 내 유일하게 발굴하지 못해 미조사 지역으로 남아있던 곳이다. 그동안 서회랑 서쪽지역은 금당, 목탑 등이 있는 예불공간과는 달리 승려의 생활공간이나 절 운영과 관련된 시설 등이 있을 것으로 막연히 추정해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8년부터 서회랑 서쪽(약 8,700㎡)의 미조사 구역 중 북쪽을 우선적으로 발굴했다. 발굴결과, 통일신라~고려 시대에 이르는 건물지, 배수로, 담장지, 폐와구덩이 등 다수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특히, 건물지는 상층에 고려, 하층에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가 중복하고 있어 황룡사 외곽의 공간구성이나 건물 배치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서회랑에서 서쪽으로 약 9m 떨어진 곳에서는 남북방향으로 조성된 35.5m 길이의 고려 시대 담장도 확인되었다. 길이 30~50㎝ 되는 사각형(방형) 석재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대형 암키와 조각을 여러 단 쌓아 수평을 맞춘 후 다시 상부에 석재나 벽돌을 올리는 방식으로 축조됐다. 이 담장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을 구획한 것으로 보이는데, 회랑 안쪽의 예불영역과 바깥쪽의 생활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 하층에서는 약 5~10cm 크기의 잔자갈과 황색의 점토가 섞인 층이 노출되었다. 이 흔적은 도로기층부로 추정되는데, 남북방향의 도로 유구로 이어지면 황룡사 서편의 사역 확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삼국~고려 시대에 사용된 기와류, 토도류, 금속유물 등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특히, 금동제ㆍ철제 자물쇠 3점이 주목된다. 넓지 않은 조사구역 내에서 통일신라ㆍ고려 시대 자물쇠 3점이 출토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서회랑 외곽공간의 기능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보인다.

* 토도류: 점토를 이용하여 빚은 후 구워 만든 그릇으로 보통 500~1000℃ 이하는 토기, 그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진 그릇은 도기라고 부름

 

특히, 통일신라 시대 건물터 기초층에서 출토된 길이 6cm의 금동봉황장식 자물쇠는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는 매우 특징적인 유물로 평가된다. 주조로 제작된 금동자물쇠는 봉황의 비늘이나 날개 깃털 등의 무늬를 세밀하게 표현해 매우 정성스럽게 만든 귀중품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해당구역은 절과 관련해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장치나 시설 등이 마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사지역에 대한 추가발굴이 이어지면 해당공간의 성격이나 기능이 더욱 명확해 질 것으로 예상한다.

* 봉황: 예로부터 상서롭고 고귀한 뜻을 가진 상상의 새로 신성시함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신라 사찰 학술조사연구사업으로 추진 중인 ‘황룡사 서회랑 서편지역 발굴조사 성과’를 25일 낮 2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https://youtu.be/FvEpWuZCvog)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 회랑(回廊): 지붕이 있는 긴 복도

 

이번 발굴성과 공개는 코로나19로 인해 발굴현장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문화유산을 함께 공유하고자 온라인으로 마련되었다. 국민 누구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방문하면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