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세종의 사맛 곧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살피고 있는데 사람이 사람다워지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이 일치하는 노력을 게을리 말아야 한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마음과 몸이 따로 노는 경향이 심해졌다. 이럴때 일수록 돌파구를 찾아서 살던 방향을 고쳐서라도 새로운 일상을 지켜나가야 한다. 그래서 마음이 안정되는 생활을 해야 하는데 이것이 항심(恒心)이다. 외부 환경에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자기 독려다. 삶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잘하고 못한 일을 마음에 새기며 내일을 향해 마음을 고쳐먹어야 하는데 이것이 개심(改心)이다. 다음은 새로운 일을 할 때는 몸이 움직여야 할 텐데 바로 용심(用心)이다. 다음 단계는 이어 항심이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다. 왜 그럴까. 마음이 약해서이겠지만 달리 보면 그보다는 계획을 너무 크게 잡아서일 수도 있다. ‘내일부터 매일 만보를 걸어야지.’ 하고 처음부터 목표를 크게 잡는 것이 일반이다. 일주일에 두 번은 걸어야지, 그리고 그것이 되면 세번으로 늘려가는 방식을 택하고 먼저 5천보라도 걷는 편이 성공할 확률이 높다. 항심과 연관한 심리학에 다음 예가 있다. 사람은 큰 컵에든 적은 양의 얼음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흰쌀밥에 빨간 우메보시(매실장아찌) 한 개를 살짝 올린 도시락, 언뜻 보면 일장기를 연상케하는 이 모양의 도시락은 이름하여 ‘히노마루벤토(日の丸弁当)’다. 히노마루(日の丸)가 일장기이므로 ‘일장기 도시락’ 인 셈이다. 이러한 일장기 도시락이 일본의 유명 고급 백화점인 이세탄(伊勢丹) 신주쿠점 식품매장에 등장했다. 이세탄 백화점 지하 식품매장이라면 보통 고급스럽고 맛깔스러운 반찬이 즐비한 곳이라서 이번에 등장한 ‘일장기 도시락’은 조금 뜻밖이라는 반응이다. 인터넷 <식락(食樂, 쇼쿠라쿠)>의 1월 11일치 기사에는 이러한 ‘일장기 도시락’을 직접 사 먹어 보았다는 기사가 올라 관심을 끈다. 기사를 쓴 기자는 이세탄 식품매장을 지나다가 ‘일장기 도시락’을 발견하고는 점원에게 물었다고 했다. 그러자 점원은 아주 친절히 ‘일장기 도시락’을 설명해 주었다. “이 도시락에 쓴 쌀밥의 쌀은 일본 최고의 쌀인 아키타현(秋田県)의 아키타코마치이고, 우메보시는 오다와라(小田原)의 쥬로우메(十郎梅)입니다. 도시락에 사용하는 쌀밥은 갓 지은 밥이고, 우메보시는 매실나무에서 잘 익어서 떨어진 매실을 가지고 담근 최고 매실장아찌입니다.”라는 설
[우리문화신문=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 지난주에는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이 학교방문 공연 외에도 특별 공연을 통해 재미동포와 미 주류사회의 사랑을 받아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L.A 올림픽의 예술축제와 폐막 공연, 인갈스 오디토리움(Ingalls Auditorium)에서의 <아시아 태평양 무용축제>, <와츠타워 훼스티발(Watts Tower Festival)>, <할리웃 보울 한국음악 훼스티발(Hollywood Bowl Korean Music Festival)>, LA 다져스 스타디엄(LA Dodger Stadium)과 캘럭시 축구장(LA Galaxy Soccer Stadium)공연,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스튜디오에서 열린 <한국의 날-Korea Festival> 참가 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L.A에 거주하고 있는 재미동포 문화예술인들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결집시키기 위한 <연합회>의 조직과 문화예술이나 구성, 또는 그 활동 방법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미국의 영화나 연극 분야에서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해 오고 있던 오순택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해마다 1월 둘째 주 월요일은 일본에서 스무 살이 되는 성년을 위한 ‘성인의 날’ 기념행사가 열린다. 올해는 11일(월)이 성년의 날이지만 ‘코로나19’로 기념식을 중단하거나 축소, 또는 비대면으로 치르는 지자체가 많다. 하루 확진자가 4,757명 (도쿄는 1,278명) 씩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긴급사태 선언’을 검토 중인 상황에서 도쿄 디즈니랜드가 있는 치바현 우라야스시(千葉県 浦安市)에서는 성인식을 3월 7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우라야스시에서는 디즈니랜드 운영사인 오리엔탈랜드와 협의한 결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연기하기로 했다고 한다. 우라야스시에서는 2002년부터 해마다 도쿄 디즈니랜드에서 성인식을 열어왔다. 도쿄도의 경우 23구(区) 가운데 65%에 해당하는 15구에서는 성인식을 중지하기로 했다. 성인식을 그대로 진행하는 세다가야구(世田谷區)에서는 인터넷으로 중계할 예정이고, 고도구(江東区)에서는 이 지역 출신 저명한 인사들의 축하 메시지를 녹화하여 케이블티브이로 내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일본의 성인의 날은 1946년 11월 22일 사이타마현 와라비시(埼玉県 蕨市)에서 연 ‘청년제’가 그 뿌리다. 당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 이야기는 미국에서 학교방문 공연의 평가가 매우 엄격하다는 이야기, 그럼에도 김동석 교수의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은 거의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아 30년을 이어오는 유일한 단체로 인정받아 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동 예술단이 학교를 방문, 공연활동을 펼치는 것이 전부가 아니란 점, 곧 학교 밖에서도 크고 작은 특별 공연들을 펼쳐 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는 이야기이다. 그 대표적인 예를 소개해 보기로 한다. 먼저 L.A 올림픽의 예술축제와 폐막 공연의 참여이다. 1984년 L.A 올림픽이 열렸을 때, 동 <예술단>은 미국 소수민족의 예술단체를 대표하는 단체로 뽑히는 영광을 안았다. 그 결과 L.A 다운타운에 있는 일미극장에서 단독 공연을 하게 된 것이다. 다양한 한국의 전통음악, 그리고 춤을 통해 한국 전통예술의 아름다움을 한인사회는 물론, 미주사회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84년 6월, 인갈스 오디토리움(Ingalls Auditorium)에서의 <아시아 태평양 무용축제>도 잊을 수 없는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 이 축제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인도, 필립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저는 일본의 신사(神社)나 신궁(神宮)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의 하나는 전쟁 중에 강제로 신사참배를 한 기억이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군국주의의 맹호를 떨치게 한 곳이 신사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전후(戰後, 1945년)에 알고 보니 일본 각지에 조선에 없는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같은 3국 이름이 들어있는 고마신사(高麗神社), 백제신사(百濟神社), 신라신사(新羅神社)가 많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사실 일본의 신사(神社)나 신궁(神宮)은 고대 조선의 신라에서 건너온 것입니다.” 이는 재일조선인 작가 김달수 씨의 《고대조선과 일본문화》(일본 강담사, 1987) 26쪽에 나오는 말이다. 김달수 씨를 작가라고 부르기보다는 역사학자라고 불러야 좋을 만큼 그는 “일본 속의 고대 한국문화”를 평생 찾아낸 사람으로 한국보다 일본에서 더 알려진 작가다. 지금 일본의 가나가와현에 있는 가나가와 근대문학관에서는 12월 12일부터 김달수(1920~1997) 작가 탄생 100주년 기념전이 열리고 있다. 가나가와 근대문학관에서 소개하고 있는 김달수 씨의 면모를 보면, “김달수 씨는 조선인으로서의 경험을 살려 작품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이 L.A와 그 이웃 지역에도 전속 예술단체가 되어 그동안 3,000개 이상의 학교에서 5,000회 이상의 방문 공연하였다는 이야기와 학교의 선생님들이 ‘경이로운(wonderful)’, ‘최고로 멋진(awesome)’, ‘아름다운(beautiful)’, ‘매혹적인 (mesmerized)’, ‘최고로 즐거운(really enjoyed)’ 등으로 평가해 줄 때, 김동석 교수는 보람을 느낀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L.A 음악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이 어떻게 그토록 긴 시간을 학교방문 교육에 동참해 올 수 있었는가 하는 이야기를 해 본다. 김동석의 학교방문 공연수업은 한국의 역사 이야기로 시작해서 국악기 연주와 무용 등을 선보인 다음, 한국말 몇 마디 가르쳐 주는 것으로 진행한다. 처음에는 낯설기만 한 동양의 한 작은 나라, 코리아의 음악과 춤을 감상하는 시간이려니 해서 학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그러나 공연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의 반응은 점차 달아오르기 시작하다가 이내 ‘원더풀’을 연호하며, 공연이 끝나면 사인을 해달라고 줄을 서기 시작한다.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세종의 사맛 즉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살피고 있는데 사람의 삶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잘했거나 잘못한 일을 늘 마음에 새기며 보다 나은 내일을 향해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바로 개심(改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일을 할 때에는 최종으로 몸이 먼저 움직이게 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마음이 함께 움직여야 하는데 바로 용심(用心)이다. 지난 회의 개심에 이어 용심을 살펴본다. 새로운 일 시작하기 어려움 우리 속담에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다. 시작하면 되는 일인데 쉽게 손을 못 대고 미루면서 머무적거린다. 늘 하던 일이 아니면 일에 앞서 다시 생각을 하며 전체 틀을 잡아야 한다. 소위 틀거리를 잡고 다음에 세부사항인 줄거리를 잡아가야 한다. 그 틀거리를 잡는 일이 쉽지 않다. 그림을 그리려고 할 때 캔버스 앞에 앉아 한참 생각하고 있는 경우다. 전체 윤곽이 잡혀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이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외출이나, 여행 등이 줄어들고 있다. 집안에 있던 사람은 시간 여유가 더 생겨 새로운 자기 능력을 찾아내는 일을 할 수 있을 좋은 기회일 것이다. 그런데 쉽게 되지 않는다. 왜 그럴까. 간절히 소망하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설을 앞두고 일본에서는 ‘카도마츠(門松)’를 만드느라 분주하다. 일본은 메이지(明治, 1868년) 때부터 양력설을 쇠고 있으며 이제 설날은 일주일 남짓 남았다. 카도마츠란 설날을 맞아 집 대문 앞 또는 출입문 앞에 세우는 소나무 장식물을 말한다. 카도마츠는 길고 두툼한 토막의 대나무를 가운데 세우고 그 둘레에 소나무를 세운다. 소나무는 조상신이 찾아든다는 속설이 있어 소나무 장식을 즐기며 여기 쓰이는 대나무는 천수를 누리며 장수하라는 뜻을 지닌다. 설날 장식품인 카도마츠는 12월 23일부터 새해 1월 7일까지 세워두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15일까지 세워두는 곳도 있다. 이렇게 카도마츠를 세워두는 기간을 가리켜 ‘소나무가 세워져 있는 동안’이라는 뜻으로 ‘마츠노우치(松の內)’라고 한다. 22일(화) 북일본신문에는 오야베 원예고등학교(토야마현 오야베시) 학생들이 미니 카도마츠를 만들어 손에 들고 찍은 사진을 크게 보도했다. 이들은 미니 카도마츠 50개를 만들어 학교에서 판매한다고 한다. 미야코시 히데아키(宮腰秀明) 선생으로부터 지도를 받은 학생 3명은 이번 달 초부터 작업을 시작했다. 원예고등학교 학생들은 목화버섯과, 학교 터 안에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김동석 교수가 L.A지역의 어느 중학교에서 실행한 다인종 문화의 이해를 위한 공연 수업을 소개하였다. 음악센터에는 약 60여 개의 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나, 창립 이후,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유일한 단체는 김동석의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이라는 이야기, 음악센터의 광장 한복판에 있는 커다란 스크린에는 항상 동 예술단의 공연 장면들이 소개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김동석의 <한국음악무용예술단>은 창단 다음 해인 1984년부터 이웃 지역, 곧 오렌지 카운티와 산타 바바라,(Santa Barbara county), 산디에고(San Diego)의 전속 예술단체가 되었다. 이들 지역을 합하면 남북한을 합친 길이보다 더 길다고 하는데, 대략 3,000개 이상의 학교를 방문하였다고 한다. 김동석 교수의 말이다. “어떤 날은 새벽 4시에 떠나 3시간 운전해서 학교에 도착, 공연하고, 또 어떤 날은 2~3개 도시를 돌면서 한국을 모르고 있는 어린 학생들을 만나는 기쁨에 피곤을 잊고 뛰어다녔지요. 아마도 지난해 2019년까지 우리는 5,000회 이상의 방문 공연을 했을 겁니다. 이 강의를 하면서 음악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