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 별식(궁중다과, 약차) 체험 「경복궁 생과방」

  • 등록 2025.08.12 11:27:19
크게보기

2025년 하반기 「경복궁 생과방」 (9.3.~11.3.) 열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9월 3일부터 11월 3일까지 2025년 하반기 「경복궁 생과방」 행사를 연다. 「경복궁 생과방」은 조선시대 왕실의 별식을 만들던 ‘생과방’에서 궁중다과와 약차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도 추첨제 방식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 운영시간(회당 36명): (1부) 10:00, (2부) 11:40, (3부) 13:50, (4부) 15:30 / 약 70분 동안

* 기간 중 매주 화요일 미운영(경복궁 휴궁일)

 

 

참가 응모와 예매는 티켓링크(www.ticketlink.co.kr)에서 진행되며, 당첨자는 많게는 2매까지 예매할 수 있다. 응모는 한 계정(ID)당 한 번만 가능하며, 참가비는 1인당 1만 5천 원이다. 응모 기간은 오는 8월 13일 낮 2시부터 8월 19일 밤 11시 59분까지이며, 당첨자는 8월 21일 저녁 5시에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에서 발표된다. 당첨자는 8월 22일 낮 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원하는 날짜와 회차를 골라 예매와 결제를 하면 된다. 8월 27일 낮 2시부터는 잔여석에만 선착순 예매가 시작되며, 만 65살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티켓링크 전화 상담실: ☎ 1588-7890)로도 예매할 수 있다.

 

참가자는 경복궁의 가을 정취를 느끼며 여섯 가지 다과와 궁중 약차로 구성된 궁중다과 묶음(세트)을 맛볼 수 있다. 다과는 ‘주악 세트’와 ‘곶감쌈 세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며, 약차는 4종 가운데 한 가지를 고른다. 다과와 약차 구성은 《조선왕조실록》과 《동의보감》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했으며,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다과(곶감쌈, 복숭아정과, 모과과편)와 약차(제호다) 등이 포함되어 기대를 모은다.

* 정과(正果): 조선시대 제례 음식에 사용되던 전통 다과로, 향이 강한 과일 등을 조려 만든다.

* 과편(果片): 과실이나 열매를 삶아 녹말가루를 섞어 졸여 만든 묵처럼 쫀득한 전통 간식.

* 제호다(齊護茶):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번갈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궁중 내의원에서 임금께 올리고 기로소(耆老所)에 하사한 약차로 기록되어 있음.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다과를 즐기는 공간을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 활성화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무형유산 전승자들이 만든 괴목 이층 애기장(김극천 두석장 보유자), 황동 거북 보석함(박문열 두석장 보유자), 장수 초충도함(이재만 화각장 보유자) 등의 공예품과 국가유산청 전승공예품은행 소장 작품으로 고풍스럽게 꾸몄다. 평소 전시장 속에서 감상하던 전통공예품을 일상 속에서 경험하고, 전통다과를 즐기며 전통공예의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가을 분위기에 맞게 조성된 사진 마당을 통해 특별한 추억을 남길 수도 있어 생과방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특별한 궁중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국가무형유산 전승취약종목: 사회적 수요 감소로 인해 전승 단절 위기에 처해 국가유산청이 우선지원 대상으로 선정한 종목. 현재 전통기술 분야의 전승취약종목은 갓일, 한산모시짜기, 매듭장, 나주의샛골나이, 낙죽장, 조각장, 악기장(편종ㆍ편경 제작), 장도장, 두석장, 백동연죽장, 망건장, 탕건장, 바디장, 전통장, 배첩장, 화각장, 윤도장, 선자장, 낙화장, 사경장으로 총 20종목임.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www.kh.or.kr)을 확인하거나, 궁능 활용프로그램 전화 상담실(1522-2295)로 문의하면 된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