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7. 오늘은 단오, 그네뛰고 씨름하는 명절

  • 등록 2010.06.15 22:14:54
크게보기

   

오늘은 우리 겨레 4대 명절 가운데 하나인 단오 입니다.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지요.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합니다. 중오(重五)는 오(五)의 수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것으로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고 생각하는데,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를 '양(陽)의 수'라 하고, 짝수를 '음(陰)의 수'라 하여 '양의 수'를 좋은 숫자로 여겼습니다. 따라서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은 명절로서 단오 말고도 설(1월 1일)·삼짇날(3월 3일)·칠석(7월 7일)·중구(9월 9일) 등이 있지요.

이날은 쑥떡을 해먹는데, 쑥떡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다고 해서 토박이말로는 '수릿날'이라고 불립니다. 수리란 고(高)·상(上)·신(神) 따위를 뜻하는 우리의 옛말로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에서 불렸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다른 말로는 모함을 받은 중국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지조를 보이려고 수뢰(水瀨:급류)에 빠져 죽었다는데 이날을 기려 제사를 지냈다는 뜻으로 수릿날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지요.

예부터 단오는 설날, 한식, 한가위와 함께 4대 명절로 지냈는데 이날의 세시풍속으로는 남성들은 씨름을, 여성들은 그네를 즐겨 탔으며, 여성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았습니다. 또  이 날은 다가 올여름에 더위를 타지 말고 건강하라는 뜻으로 부채를 선물하기도 합니다.  단오날 정오에 대추나무 가지를 치거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기원하는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 풍습도 있었습니다.


푸른솔 pine4808@paran.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