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
본래 대한民으로서
차라리 죽을 지언정
일본民 되기를 바라지 않는 국민이
독립을 외친 것이
무슨 법에 맞는 다는 것인가
-이상동 판결문(고등법원, 1919년 5월 12일)-
*이상동(李相東) 독립투사에 대하여...
이상동(李相東)의 형은 이상룡(李相龍)이다. 이상동은 1895년(고종 32)에 의병장 신돌석(申乭錫)의 지휘 아래에서 싸웠는데, 형 이상룡과 함께 참여하였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이루어지자 이상동은 대한협회(大韓協會)의 안동지회에 들어가, 국권을 회복하는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1년에는 기독교를 신앙으로 받아들였으며, 이후 장로(長老)가 되어 교회를 건립하는 등 기독교를 전하는 데 앞장섰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났을 때에는 안동에 있는 한 시장에서 기독교 교인들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여했다. 그 일로 체포되어 대구 지방법원에서 2년의 형을 선고 받았다. 1921년 출옥한 뒤에도 기독교 전도와 후진교육을 계속해나갔다. 일본제국주의가 강요한 신사참배(神社參拜)와 창씨개명(創氏改名) 등을 거부하다가 다시 여러 차례 구속되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