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톺아 보기 68]부조예군은인(夫租薉君銀印)

  • 등록 2014.01.23 06:42:27
크게보기

[그린경제/얼레빗 =정석현 기자] 중국에서 인장(印章)제도는 진대(秦代)에 마련되었고, 한대(漢代)에 계승하여 정식화되었다. 한대의 인장은 관인(官印)과 사인(私印)으로 나뉜다.

관인은 인(印) 또는 장(章)(太守·御史·將軍)이라 칭해지며, 지위 고하와 신분에 따라 용어·인장의 재료·형태와 크기 등에 구분이 있었다. 사인은 사인(私印)·인신(印信)·신인(信印)으로 불리며, 그 형식은 일면인(一面印)·양면인(兩面印)·자모인(子母印) 등으로 다양하였다.

낙랑지역에서 출토된 인장은 주로 사인으로, 한대 인장의 형식으로 제작되어 대개 한대에 한정하여 제작·사용되었다. 이 지역의 인장은 한에서 제작되어 수입된 것과 낙랑지역에서 직접 제작한 것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부조예군은인(夫租薉君銀印)


부조예군묘(夫租薉君墓)는 단장목곽분(單葬木槨墳)으로서, 세형동검(細形銅劍)과 동모(銅矛), 동탁(銅鐸), 철제장검·단검·대도, 철부(鐵斧) 및 다수의 마구류, 수레부속이 출토되었다. 본 인장의 인문(印文)은 반서(反書)이고, 타뉴(駝鈕)이다.

크기: 인면(印面) 2.2cm 방형(方形), 두께 0.5cm
출토지; 평양시 락랑구역(樂浪區域) 정백동(貞柏洞, 구 정백리) 부조예군묘(夫租薉君墓)
소재지;북한

<출처: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

정석현 기자 asadal1212@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