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재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지정 예고

불화의 내력을 알려주는 복장유물 6건도 함께 지정 예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호남(湖南)을 대표하는 고찰(古刹) 백양사(白羊寺)에서 300년 넘게 전래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를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1호)는 1994년 9월 도난 되었으나, 2006년 9월 지금의 제자리로 환수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불화이다. 본존 아미타불이 여러 제자들에게 불교의 교리를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1775년(영조 51) 백양사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한 작품이다.

 

 

1775년 수화승 색민(嗇敏)을 비롯해 계헌 등 모두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하여 그린 작품으로, 승려 환월당(喚月堂) 민숙(旻肅)이 외조모 유씨 부부와 부모 봉씨 부부가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며 주문 제작한 것이다. 승려가 이처럼 직접 대시주자(大施主者)로 나선 사례는 매우 드물다.

* 수화승: 불화 제작에 참여한 화승집단을 이끈 역량이 가장 뛰어난 화승

* 색민(嗇敏): 18세기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로, 정확한 생몰년(生沒年)과 속명(俗名)은 알려지지 않음. 당시 전국적으로 이름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로서, 뛰어난 필력으로 대형 괘불도에서부터 소규모 칠성도(七聖圖)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의 불화를 능숙하게 그려낸 18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가운데 한 명

* 대시주자(大施主者): 시주자의 대표이자 가장 많이 시주한 인물

 

장황(粧䌙)은 일부 새롭게 꾸몄으나 전반적으로 제작 당시의 원형에 큰 손상 없이 전래되고 있다. 본존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 보살과 6위의 제자, 사천왕, 2위의 팔부중을 배치한 간략한 화면구성, 본존의 두광(頭光)에서부터 제자상과 팔대보살 등 권속들을 따라가며 화면을 꽉 채운 원형구도가 안정감을 주며, 2미터가 넘는 긴 화면에 압도적으로 그려진 본존불, 날씬한 협시보살의 표현 등에서 장중함과 상승감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색민이 그린 「구례 화엄사 삼신불도(求禮 華嚴寺 三神佛圖)」(1757년)와 「해남 대흥사 괘불도(海南 大興寺 掛佛圖)」(1764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장황(粧䌙): 표구의 한국식 고유 용어, 표구는 일본에서 들어온 말

* 권속 : 주존불이 거느린 여러 무리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색민이 그의 만년기(晩年期)에 그린 것이며, 색민과 함께 그림 제작에 참여한 계헌의 입장에서는 첫 수화승이 되어 그린 작품이다. 따라서 이 불화는 의겸에서 색민, 색민에서 다시 계헌으로 이어지는 조선 후기 의겸 화풍의 전수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작품으로, 한국불교회화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안정되고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추었고 간결한 필치와 중후한 색감, 원만한 인물의 표현 등에서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조선 후기 대표적 불화다. 불화의 조성시기, 참여자 명단 등을 알려주는 발원문과 복장낭(불화를 조성한 뒤 불경 등 복장품을 넣는 주머니) 등 복장유물 6건도 온전하게 잘 남아 있어 18세기 후반 불화 복장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므로, 복장유물 역시 함께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값어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에 대해 30일 동안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ㆍ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