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랄산부터 대마도까지”, 또 다른 애국가 찾았다

  • 등록 2016.08.15 11:18:36
크게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독립운동가 김승학 선생의 가사 기록지 공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백두산하 삼천단부 한데 모여 한배님이 건국하신 우리나라 만세

높고 둥근 백두산은 우리 민족 기상이며 맑고 깊은 천지물은 우리겨레 정신일세

우랄산부터 대마도까지 수륙 수만리 우리 선조 즐기시던 보금자리

이 기상과 이 정신을 모두 합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후렴) ‘무궁화 화려한 금수강산 배달민족 배달나라 길이 보전하세


 

이 노래는 독립운동가인 희산(希山) 김승학(18811964) 선생이 소장했던 새로운 애국가 전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4일 일제강점기 독립군들이 부른 것으로 추정되는 애국가()’를 발굴했다며 선생이 소장했던 가사 기록지를 공개했다.

 

A4용지 절반 크기의 갱지에 적힌 이 애국가는 지금의 애국가처럼 4절에 후렴구로 돼있는데 삼천단부(단군 자손의 무리)”, “한배(단군을 높여 부르는 말)” 같은 대종교에서 쓰던 낱말과 희산의 독립운동 경력으로 미뤄 대종교 계열 독립군들이 불렀던 것으로 짐작된다. 또 가사 3절이 우랄산부터 대마도까지 수륙 수만리 우리 선조 즐기시던 보금자리라고 된 것을 보면 고조선의 넓은 강역에 대한 인식이 뚜렷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기록지는 희산의 후손인 김병기 씨가 지난해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한 독립운동 관련자료 250여 점 가운데 들어 있었다.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국장, 상하이 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발행인, 임시정부 주만 육군참의부 참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다. 또 선생은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박은식이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쓸 때 도왔으며, 해방 이후 한국독립사를 펴낸 역사학자기도 하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