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소한, <구구소한도>를 그리며, 봄을 품자

2018.01.05 11:12:42

[한국문화 재발견] 꾸어다가도 하는 소한 추위를 견디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스물셋째인 소한(小寒)이다. 원래 절기상으로 보면 대한(大寒)이 가장 추운 때지만 실제는 소한이 한해 가운데 가장 추운데 절기의 기준이 중국 화북지방에 맞춰졌기 다른 것이다. 그래서 이때 전해지는 속담을 보면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소한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같은 것들이 있다.


 

이때쯤이면 추위가 절정에 달했다. 아침에 세수하고 방에 들어가려고 문고리를 당기면 손에 문고리가 짝 달라붙어 손이 찢어지는 듯 했던 기억이 새롭다. 그뿐만 아니다. 저녁에 구들장이 설설 끓을 정도로 아궁이에 불을 때두었지만 새벽이면 구들장이 싸늘하게 식는다. 그러면 문틈으로 들어오는 황소바람에 몸을 새우처럼 웅크리고 자게 된다. 이때 일어나 보면 자리끼로 떠다 놓은 물사발이 꽁꽁 얼어있고 윗목에 있던 걸레는 돌덩이처럼 굳어있었다.

 

그렇게 추운 겨울. 지금이야 난방이 잘돼 어려움이 적지만 예전 사람들은 어떻게 견뎠을까? 조선시대 선비들은 동지가 되면 <구구소한도>를 그린다.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에서 구구(九九)9×9=81, 곧 여든한 개의 매화 꽃송이를 말하는 것으로 이 매화 꽃송이들로 추위를 삭여 낸다. 곧 매화 81송이를 그려놓은 다음 매일 하루에 한 송이씩 차례대로 빨갛게 칠을 해나갔다. 빨갛게 칠해가는 방법을 보면 흐린 날은 매화 위쪽을, 맑은 날은 아래쪽을, 바람 부는 날에는 왼쪽을, 비가 오는 날에는 오른쪽을, 눈이 오는 날에는 한가운데를 칠했다. 하루 한 송이씩 하얀 매화 그림 위에 색을 칠할 때마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담아 꽃송이를 완성시킨 것이다.


 

옛 사람들은 아홉 번째 아홉 날이 지나면 농사짓는 소가 밭을 갈기 시작한다네.”라고 하여 홍매화 81 송이를 그려가며 꿈을 꾸면 입춘이 되고 봄이 온다고 생각했다. 요즘처럼 세상이 꽁꽁 얼어버리면 모든 생물이 다 죽은 것으로 느껴진다. 더구나 흰눈이 내려 쌓이면 아무 것도 없는 세상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런 속에서도 선비들은 매화가 피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희망을 가지고 살다보면 어언 구구소한도는 모두 채워지고, 훈훈한 봄바람이 세상을 감싸는 봄이 오게 된다. 지금보다 더 환경이 열악했던 조선시대 사람들도 저렇게 희망을 가지고 살았던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겨울의 혹독한 추위를 동장군(冬將軍)”이라고 말한다. 동장군이란 말의 유래는 무엇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동장군을 겨울 장군이라는 뜻으로, 혹독한 겨울 추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짧게 설명해 언제부터 어떻게 쓰이기 시작했는지 그 유래를 알 수 없게 해놓았다.


 

사쿠라훈민정음, 이윤옥, 인물과사상, 2010에 따르면 이 말은 일본말에서 온 말로 일본국어사전 다이지센(大辭泉)에는 ふゆしょうぐん冬將軍:モスクワに遠征したナポレオンがさと原因れたところからしいさをいう로 되어 있는데 번역하면, 동장군은 모스크바에 원정 간 나폴레옹이 겨울 추위와 눈으로 패하게 된데서 나온 말로 겨울의 혹독한 추위를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덧붙이자면 1812년 러시아-프랑스 전투에서 혹독한 날씨 탓으로 무너진 프랑스 군대를 보고 영국기자가 말한 ‘general frost’를 일본에서 동장군으로 번역한 것을 우리가 들여다 쓰는 꼴이다.

 

따라서 동장군은 '장군(쇼군, 사무라이)문화’ 700년을 거친 일본에서 근세에 생긴 말이다. 그럼 동장군이란 말이 들어오기 전에 우리나라에서는 뭐라 했을까? 조선 중기 계곡(谿谷) 장유(張維) 선생의 시문집 계곡집(谿谷集)현명(玄冥)”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형살(刑殺)을 담당하는 북방의 신()”을 뜻하며 곧 동장군(冬將軍)을 뜻하는 말이다. 그렇다고 현명(玄冥)”이라는 말을 쓰자는 것은 아니며, 다만 동장군이라는 말의 유래라도 알고 쓰자는 것이다.

오늘은 온 세상이 꽁꽁 언 소한, 하지만, 꾸어다가도 해야 할 추위라면 당연히 봄을 맞는 희망으로 견뎌내야 하리라.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