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모 이름은 ‘큰엄마’였다

2019.12.10 11:32:46

이불을 쓰고 장밤을 울었던 큰엄마
[엄마가 들려준 엄마의 이야기 28]

[우리문화신문=김영자 작가]  사람마다 이름이 다 있건만 둘째 고모의 이름은 무엇인지 모두 큰엄마라 불러 고모의 이름은 결국 큰엄마였단다. 엄마에겐 이상 시누이 셋이 있었는데 둘째 시누이는 중국에서 살다가 해방 뒤에 조선 함경북도 청진군 온성에서 살았다고 한다. 어느 하루 엄마는 “이제 며칠 뒤에 우리 고모네 집에 가보자. 그 집엔 고모가 두분 계시는데 큰고모가 너희 아버지의 누님이시란다.”.

 

“예? 그럼 한 분은 누구시죠? 고모라면서……” 하여 엄마는 “넌 아직 어려서 말해도 잘 모를 것이니 더 묻지 말고 그저 례절만 지켜주면 된다.”라고 하셨단다. 나는 더 묻지 않았단다.

 

과연 며칠 뒤(1959년 겨울방학이라 생각된다.) 우리는 도문해관을 걸쳐 조선 온성으로 갔단다. 온성고모는 달려 나와 우리를 맞았는데 훤칠한 키에 쌍겹진 두 눈, 말쑥한 얼굴은 이미 60살을 넘으셨다는 고모의 미모를 감추지 못하였더라. 고모는 한겨울 아침에 찾아간 나의 꽁꽁 언 두 손을 자기 가슴속에 넣어 녹여 주시면서 “너 많이 컸구나! 아버지 없이 막내로 서럽게 보냈겠구나!” 하여 난 불시에 눈물을 뚝 떨구면서 고모의 품에 얼굴을 파묻었단다.

 

역시 피는 못 속이는가 보더라. 작은고모라는 분도 역시 열정적으로 대하더구나! 좀 수다스럽고 괄괄한 것 같았는데 차분한 큰고모와는 다르더구나! 엄마는 우리집 생활형편도 그닥잖으면서도* 이불감, 옷감, 애들옷, 손전지, 연필, 사탕, 술……등등 례물 한 보따리를 그대로 선물하시더구나! 엄마와 나는 고모네집에 삼사일 묵었는데 엄마와 큰 고모님, 그리고 고모부까지 무슨 이야기가 그렇게도 많으신지 어떤 때엔 한숨 짓고 또 어떤 때에는 눈굽*을 찍고 또 가끔씩 웃기도 하시면서 이야기끈을 풀더구나!

 

그 뒤 내가 어른이 되었을 때 내가 “엄마, 시누이 하나가 사막이 닷되라네요. 엄마도 그렇던가요?”하고 물으니 “그런 말은 나도 들었다만 완전히 그렇지는 않단다. 올케들의 처사에도 관계가 있을 거다. 너희 고모님들은 참 좋으신 분들이더구나! 특히 그런데 우리가 갔던 그 온성고모는 온갖 설움 다 겪은 분이시란다. 이후에 많이 생각해주자꾸나! 우리집 생활형편도 이젠 좋아지고 있으니. 그런데 라진으로 이주해 갔다 하니 조선길이 열리지 않아 가볼 수도 없어서……” 하시면서 그 고모 이야기를 들려주더구나!

 

고모가 시집가서 고모부는 아들만 고대히 바라고 고모도 “엄마”로 될 꿈을 꾸었건만 여전히 출산 한번 못 하셨단다. 여러 해가 지나서 외지로 일 보러 가셨던 고모부가 어느 날 불쑥 “시골뜨기녀자”를 데리고 집에 왔더란다. 고모는 기가 막히더란다. 밤이 되었단다. 고모는 소리 없이 방에다 이부자리를 곱게 펴주고 나와 사이문*을 닫았단다. 고모는 갑자기 설움이 터져 자기 입을 손으로 막고 집을 나와 캄캄한 구석진 곳에서 통곡하셨단다.

 

어디선가 산새들의 구슬픈 울음소리도 들려와 더욱 서러웠지만, 밤하늘의 총총한 별들만이 깜빡깜빡 동무해줄 뿐이더란다. 아들을 못 낳은 죄로만 생각한 우리 고모는 조용히 집에 들어가서 이불을 쓰고 장밤* 울었단다. 그러나 이튿날 아침상도 혼자서 곱게 차려주고…… 저녁이면 또 혼자 이불을 쓰고 흐느끼는데 벽 하나 사이 둔 저쪽칸에서 들려오는 아둔한 그 녀자의 흥분에 젖어 외치는 새된 비명소리가 들려와 고모는 그만 실신하여 문을 차고 나와 캄캄한 어둠 속에서 가을 속의 억새마냥 서 있은 적이 얼마였던지…….

 

이렇게 몇 년이 지나 그 녀자는 아들 둘이나 낳았다는구나! 가엾은 고모는 집안일을 혼자 돌보고 애들도 잘 돌보았단다. 밤이면 혼자 애들을 데리고 잤단다. 애들은 자라면서 고모를 “큰엄마”라 하고 자기 엄마는 “작은엄마”라 부르면서 “큰엄마”가 자기 엄마인 줄로 여기더란다. 그때로부터 고모이름은 또 “큰엄마”로 되었단다.

 

그런데 세월이 흘러 해방 뒤 정부에서는 일부다처제를 반대하여 고모부에게 두부인 중 한 부인과만 가정을 꾸리라 하셨단다. 고모부는 고려하던 끝에 그래도 우리 고모를 선택하셨다는구나! 고모는 그래도 반갑더란다. 그러나 그때 이미 애 둘 가진 그 녀자가 애들 두고 떠나야 하는 신세가 되어 울며불며 란리가 났다는구나! 참 기막히더란다. 고모는 고모부 보고 “이래선 안 되오. 애들을 생각해서라도 내가 이 집을 떠나야겠소.” 하였단다. 하여 끝내 그 녀자를 등록거주증에 올려주고 이 집의 안주인이 되게 하였다는구나!

 

그 녀잔 좋아하고 우리 고모는 눈물을 머금고 보따리를 꾸렸단다. 고모가 봇짐 들고 집문을 나서는 날 마을분들이 몰려들고 집의 두 애가 달려 나와 “큰엄마”를 부르며 “엄마, 엄마 가지마”하고 옷자락 잡고 다리에 매달려 울더란다. 고모부도 차마 보낼 수 없어 고모 앞에 무릎 꿇고 앉더란다. 차마 눈 뜨고 못 보겠더란다. 고모는 할 수 없이 잠시 이 집 일군으로 남았단다. 그 뒤엔 조선으로 이주하여 살았다 하는구나.

 

그러나 조선 정부에서도 부인 한 사람만 인정하고 호적에 올려주고 량식배급도 한 사람분만 주고 고모는 안 주더란다. 고모는 이 집의 일군으로 되였는데 그래도 애들이 “큰엄마”, “작은엄마”하여 그 애들과 친숙해졌고 애들의 “작은엄마”도 고모를 “형님”이라 친숙히 불러 다른 집에 가서 머슴살이하기보다 나을 것이라 여겨 물앉았단다.*

 

세월이 흘러 “작은엄마”는 아들 셋, 딸 하나를 낳았다는구나! 우리가 고모집에 갔을 때 큰아들 “달삼오빠”는 중등전문학교 학생회 회장도 하시고 공부도 잘하면서 “큰엄마”의 친아들로 자라났었단다. 자기는 영원히 “큰엄마 아들”이라 하면서 호적없는 “큰엄마”를 위로하시더란다. 우리가 갔을 때에도 “작은엄마”가 돌아앉는 기회만 생기면 불룩한 자기 밥그릇에서 한술 푹 떠선 “큰 엄마” 국그릇에 꾹꾹 눌러놓곤 모르는 것처럼 수걱수걱 자기밥을 먹더구나!

 

후일 고모의 말씀이 “저 앤 늘 내가 서러워하고 배가 고파할까 봐 남모르게 나를 보살펴주는 나의 아들이요.” 하시더구나! 정말 오늘까지도 나는 그 “고모사촌오빠”가 밥 한술 크게 떠서 고모의 국사발에 얼른 꾹꾹 눌러놓던 그 모습 잊히지 않는구나! 지금처럼 량식이 흔하지도 않은 그 세월에……

 

엄마는 “이젠 고모도 돌아가셨겠지만, 고모를 잘 대해주던 그 오빠를 잊지 말어라. 이제 조선문이 열리면 라진에 가서 찾아보거라.”고 몇 번이고 외우셨단다. 어찌나 외우셨던지 내 친구들도 “달삼오빠”를 가끔씩 외우고 있단다. 자기도 어렵게 보내시던 그 세월에 시누이 걱정까지 하시던 엄마의 그 모습 그 목소리가 가끔은 들려오는 듯도 하구나!

 

세월이 흘러 고모도, 엄마도, 달삼오빠도 모두 저 푸르른 하늘나라 어디에서 만나 즐겁게 옛이야기들을 나누었을 것이다. 고모를 다시 뵙지 못한지도 60년이 지났구나! 고모의 모든 설움도 고향 뒷산에 찾아와 고향을 바라보며 쓸쓸히 옛말을 전하기도 하는구나!

 

<낱말풀이>

* 그닥잖다 : 그리 좋지 않다.

* 눈굽 : 눈의 안쪽 구석이나 눈의 가장자리

* 사이문 : 정주간(부엌)과 방 사이에 난 문

* 장밤 : 긴밤, 옹근밤

* 물앉았다 : 억울하여도 그 자리에 도로 앉다.

 

김영자 작가 15694331966@163.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