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현존 공신초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신숙주 초상」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권상하 초상」, 「유설경학대장」,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 4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 공신초상화: 나라에 공로가 있는 신하를 책봉할 때 그려서 하사하는 그림
197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신숙주 초상(申叔舟 肖像)」은 조선 전기 정치와 학문에서 뚜렷한 자취를 남긴 신숙주(1417~1475)의 초상화로, 청주의 구봉영당*(九峯影堂)에 봉안되어 전해오고 있는 작품이다. 백한(白鷳)* 흉배의 녹색 관복을 입고 허리에는 삽은대*를 두르고 있는데 이는 문관 3품에 해당하는 복식이므로, 이 초상화는 1455년(세조 1) 좌익공신이 되었을 때 그 포상으로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영당: 조상의 영정과 위패 등을 모신 사당
* 백한: 꿩과에 속하는 조류의 일종
* 삽은대: 조선시대 관원이 관복을 입을 때 착용한 허리띠로 은으로 장식되었다.
얼굴은 코를 경계로 좌측이 좀 더 짙게 보이도록 음영처리를 했으며, 눈두덩과 팔자주름 부분 그리고 뺨에도 선염(渲染)*처리를 했다. 수염은 올이 많지 않고 검은색으로 30대의 젊은 모습을 보여준다.
* 선염 : 화면에 물을 먼저 칠하고 마르기 전 수묵이나 채색을 올려 은은한 표현 효과를 내는 기법
신숙주 초상은 현재 가장 오래된 공신초상으로, 조선 전기 공신초상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제작 당시의 원형을 비교적 충실하게 보존하고 있어서 미술사적으로 값어치가 높으며, 조선 전기 신숙주라는 인물을 묘사한 점에서도 역사적으로 높은 값어치가 있다.
한편,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의림지 역사박물관 소장 「권상하 초상(權尙夏 肖像)」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 학문의 정통 계승자로 평가되는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초상화로, 제천의 황강영당(黃江影堂)에 300년 넘게 봉안되어 온 내력이 분명한 작품이다. 화면 상단에는 “한수옹(권상하) 79세 진영(寒水翁七十九歲眞)”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를 통해 초상화의 주인공이 권상하이며 그가 79살 때의 모습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화면 오른쪽 중간에는 “기해사월일 화사김진여모(己亥四月日 畵師金振汝摹)”라고 쓰여 있어 숙종의 어진(임금의 초상)을 그리는 화사로 참여했던 화원 김진여(金振汝, 1675~1760)가 1719년(숙종 45)에 제작했음이 명확히 확인된다.
김진여는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초상화법과는 달리, 부드러운 필선과 선염(渲染)에 의존하는 화법으로, 안면의 볼록한 부분을 밝게 처리하여 인물의 입체감을 강조하고 사실성을 배가시켰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권상하의 강직한 성품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매우 뛰어난 값어치를 지녔다.
같이 보물로 지정 예고된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의 《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은 경학의 내용을 종목별로 기록한 유학서로, 과거시험에 출제될 148항목의 내용을 요점 정리한 책이다. 중국 명(明)의 주경원(朱景元)이 펴냈으며, 상ㆍ중ㆍ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존경각 소장본의 가장 큰 특징은 조선 초기의 금속활자인 ‘경자자(庚子字)’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의 ‘소자(小字)’로 찍은 판본이라는 점이다. 경자자는 1420년(세종 2) 주자소에서 동(銅, 구리)으로 만들어진 활자로, 조선 초기의 인쇄사와 서지학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다. 특히, 경자자 가운데서도 소자로 본문 전체를 인쇄한 것으로는 이 판본이 유일할 만큼 희귀본이다.
* 주자소: 조선시대에 금속활자 등을 만들고 인쇄를 담당하던 기관
동일한 판본이 다른 소장처에 전하고 있으나, 서문과 목차 등이 일부 빠져있어 완전하지 않은 데에 견줘 서문과 목차, 본문을 완전하게 갖추고 있으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값어치가 있다.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ㆍ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靈光 佛甲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 一括 및 腹藏遺物)」은 수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해 정현(正玄), 해심(海心) 등의 조각승들이 1654년(조선 효종 5) 완성해 불갑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이다. 발원문을 통해 지장보살,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상 등 모두 27구의 존상이 제작되었음이 확인되는데, 제작 당시의 완전한 형태 그대로 전하여 조선 후기 불교 신앙과 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값어치를 지닌다.
또한,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은 무염의 작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해심의 독자적인 양식적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무염 및 그의 유파 형성과 전승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일부 존상의 발원문은 이미 2006년 4월에 보물(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로 지정된 바 있었으나, 존상 속 복장유물은 존상과 함께 일괄 보존ㆍ관리될 때 더욱 의미를 지니기에 이번에 존상과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海南 隱跡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둥글고 양감 있는 얼굴, 사실적인 인체 비례, 추켜세운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 쥔 지권인의 양식 등 신라 9세기 때의 시대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며, 귀 등 일부 세부표현에서 고려 초기적 요소도 관찰된다. 특히, 얼굴에 종교적 숭고미가 잘 표현되어 있는 등 예술적 완성도가 높다.
이 불상은 금동불에서 철불로 전환되는 시점에 제작된 비교적 이른 시기의 철불상으로 판단되므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통상, 철불은 분할주조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주조흔적이 발생하는데, 이 불상은 이러한 주조흔적을 최소한으로 나타내고자 수직으로 내려오는 옷깃을 따라 틀을 이어 붙이는 등 여러 측면에서 기술적인 고려가 세심하게 이뤄진 것으로 보이며, 마무리의 완성도 또한 높다.
비록, 역사적 고난을 겪어 오는 과정에서 무릎 부분이 결손 되었으나, 무릎을 뺀 나머지 부분은 큰 결함이나 결손 없이 온전히 남아있고, 현존 부분만으로도 신라 말 고려 초의 조형성과 예술성을 갖춘 우수한 불상으로 판단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되는 「신숙주 초상」과 보물로 지정 예고되는 「권상하 초상」, 「유설경학대장」 등 4건에 대해 30일 동안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ㆍ검토하고,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국보ㆍ보물)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