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서 발견된 흑요석 토대 강원 신석기문화 조명

  • 등록 2024.11.21 12:19:12
크게보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강원 신석기문화의 여정’ 학술대회 열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한국신석기학회(회장 최종혁)와 함께 11월 22일 오전 10시 율곡연구원(강원 강릉시)에서 ‘강원 신석기문화의 여정’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함께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동안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동해안에서 출토된 흑요석의 산지 분석 결과와 결상이식의 형식에 대한 검토 등을 통해 한ㆍ중ㆍ일의 교류 관계를 재조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결상이식(玦狀耳飾): 옥석을 둥글게 가공하여 귓불에 구멍을 뚫어 거는 고리형의 귀걸이

 

이번 학술대회는 모두 2부로 구성되며, 기조강연을 포함하여 모두 9개의 발표가 진행된다. 제1부에서는 강원지역 신석기시대 주요 유적의 조사ㆍ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동북아 신석기문화의 결절점, 강원지역 신석기시대 연구 성과와 과제’(임상택, 부산대학교)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 ‘토기를 통해 본 신석기시대 중동부지역의 위치’(김은영, 부산박물관), ▲ ‘동북아시아의 결상이식’(미즈노에 카즈토모, 일본 도시샤대학)의 2개 주제발표를 통해 동북아시아 신석기문화의 한 축을 담당한 강원 지역 신석기문화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어지는 제2부에서는 ▲ ‘동해안지역 석기제작기법과 지역관계’(윤정국, 국립공원공단), ▲ ‘흑요석 산지분석 결과로 본 중동부지역의 교류관계’(오바타 히로키, 일본 쿠마모토대학), ▲ ‘동해안지역 어로구의 특징과 해양자원 이용양상’(이영덕, 문화유산마을), ▲ ‘신석기시대 동해안의 환경과 문화’(소상영, 한양대학교박물관), ▲ ‘중동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을 통해 본 거주 양상과 교류’(구자진, 한국토지주택공사), ▲ ‘한국 출토 신석기시대 배와 동해안의 석호 문화’(임학종, 전 국립김해박물관)까지 모두 6개의 주제발표를 통해 강원지역의 신석기문화와 생활상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 어로구(漁撈具): 수산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할 때 사용한 도구

* 석호(潟湖): 해안의 만(灣)의 입구에 조류가 운반해온 모래와 암석들이 만의 입구에 쌓여 형성된 호수

 

학술대회는 당일 현장에서 등록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화(☎042-860-9289)로 문의하면 된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