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

  • 등록 2025.11.03 11:54:14
크게보기

두 차례 화재로 대웅전 불탄 뒤 광흥사 중심 불전 담당해온 역사성 인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장(청장 허민)은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절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하였다. 안동 광흥사는 남북국시대(통일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특히 조선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안동지역의 유서 깊은 절이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창건연대가 명확하지 않으나, 망와*에 기록된 글을 통해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하였음을 알 수 있어, 그 이전인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7년과 1946년 절에 난 큰 불로 주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탔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어 화를 면한 뒤 사실상 광흥사의 중심 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된 보기 드문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 망와: 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정면의 공포*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 형식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으며,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 무늬가 그려진 화반*으로 장식하여 정면을 강조하였다.

* 공포: 기둥머리에 나무를 짜 맞추어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구조부재

* 화반: 기둥 사이에 설치된 수평부재 위에 상부 무게를 받치기 위해 둔 넓은 판재

 

 

 

특히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하여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잘 보여주는 형태를 지녀 학술적 값어치가 높다.

 

아울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예술성이 높은 작품이며, 모두 42구로 일반적인 사례에 견줘 그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하여 학술적 값어치를 더하고 있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