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 명승 지정

  • 등록 2025.11.17 12:32:37
크게보기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 도 함께 명승 지정
보성, 암석ㆍ해안경관, 용추폭포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유산
여수, 동백나무숲ㆍ낙조 조망과 일출 감상 가능한 훌륭한 경관적 값어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아름답고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전라남도 지역 경승지 「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과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을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으로 각각 지정한다.

 

「보성 오봉산 용추동과 칼바위 일원」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등 여러 지리지와 문집에 오봉산의 위치와 함께 이 일원이 예로부터 경승지였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등산로를 따라 풍혈지(風穴地), 칼바위 등의 기암 경관, 정상에서 조망되는 남해안 득량만의 해안 풍광, 용추동 계곡의 용추폭포와 울창한 숲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 풍혈지: 여름철에는 시원한 바람이, 겨울철에는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지형

 

 

 

 

 

 

 

오봉산 일대에는 칼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상과 개흥사터 등 불교 신앙 유적이 전해지며, 여제* 봉행 기록이 남아있는 등 종교적ㆍ민속적 값어치가 있다. 이 밖에도, 이 일대는 우리나라 온돌문화의 핵심 재료인 구들장을 채취하던 곳으로, 채석지와 구들장을 운반했던 우마차길 등이 잘 보존되어 있어 자연과 문화적 요소 말고도 산업적 값어치가 어우러진 복합유산이다.

* 여제(厲祭): 나라에 역병이나 재앙이 돌 때, 그런 재앙을 일으키는 여귀(厲鬼)에게 지내는 제사

 

「여수 거문도 수월산 일원」은 목넘이*를 지나 거문도 등대로 이어지는 탐방로에 동백나무숲이 울창하여 개화시기에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며, 숲 사이로는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해안 풍광과 해넘이 장면을 바라볼 수 있다. 특히 탐방로 끝 절벽에 자리 잡은 거문도등대와 백도를 바라본다는 이름의 관백정(觀白亭)에서는 명승으로 지정된 여수 상ㆍ하백도와 일출도 감상할 수 있어, 대표적 경승지로 손꼽힌다.

 

* 목넘이: 수월산(水越山)의 이름은 물이 넘나드는 산이란 뜻으로, 바람이 심할 때 파도가 육로를 넘는 지형이라는 의미의 ‘무넘이(무넹이)’에서 유래했거나, 수월산으로 가기 위해 지나야 하는 길목이라는 의미의 ‘목넘이’에서 비롯됐다고 전해짐.

 

 

 

 

 

 

이곳은 청정해역 남해 어장 중심지에 있어 예로부터 남해 방어체계의 핵심이자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해 왔고, 1885년 거문도 사건과 남해안 처음으로 세워진 등대는 항로 개척사와 근대 해양사, 국제 정치사의 역사적 흔적을 지닌 장소기도 하다. 또한 동백나무, 돈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등 다양한 남부 해안 식생과 동박새, 흑비둘기 등의 조류가 서식하여 생태학적 값어치 또한 뛰어나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