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명물 진다리붓 장인 '안종선'

  • 등록 2014.08.30 09:53:19
크게보기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4호 필장

[그린경제/얼레빗 = 정석현 기자] 진다리는 광주 백운동의 옛 지명으로, 안종선씨의 할아버지가 진다리에 정착하여 붓을 만들면서 그 붓이 유명해져 진다리붓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진다리붓은 광주의 특산물 가운데 으뜸가는 것으로 안씨의 할아버지부터 아들에 이르기까지 4대에 걸쳐 이곳에서 진다리붓을 만들고 있다.

진다리 붓 만들기 과정은 붓의 생명인 털에서 시작된다. 털은 첨(尖)·제(濟)·원(圓)·건(健)의 네가지 덕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는 붓끝이 뾰족해야 하고 가지런해야 하며, 털은 원형을 이루고 힘이 있어서 한획을 긋고 난 뒤에 붓털이 다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족제비 꼬리털을 많이 쓰는데 반하여 안씨는 족제비 꼬리털과 양털을 주로 사용한다. 대(竹)는 겨울에 대나무를 베어 황토흙과 쌀겨를 섞어 물을 탄 뒤, 짚으로 문질러 햇볕에 2∼3개월 말려 한토막씩 자른 다음 건조한 곳에 저장해 두고 쓴다.

진다리붓은 4대에 걸쳐 기법이 전승되고 보호되어 온 우수한 작품으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기능보유자로는 안종선씨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홍보실 062-650-7647
*광주 남구 독립로20번길 11-2, 등 (백운동)
*2005.03.03 지정

자료 <문화재청>

정석현 기자 asadal1212@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