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규장각 의궤, 100책 3만 8천여 면 추가 공개

  • 등록 2015.03.04 09:36:18
크게보기

[한국문화신문 = 정석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2015227()부터 외규장각 의궤 누리집(http://uigwe.museum.go.kr)을 통하여 외규장각 의궤 100 38천여 면을 추가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외규장각 의궤 디지털 콘텐츠는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국가DB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외규장각 의궤 종합DB 구축󰡕 2차년도 사업의 결과물이다 


   
▲ 그림1. 원문 열람 화면(세로보기)

이번 사업에서는 외규장각 의궤 100책의 추가 공개와 함께 이용자의 열람 편의를 위해 누리집 일부 기능을 개선하였다. 먼저 의궤 열람차림의 전체자료 항목에서 각 의궤의 원문, 서지 정보, 해제, 표지, 반차도, 도설, 규장각장서각 연계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해당 항목을 클릭하면 필요한 정보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의궤 원문 열람 화면에서는 기존의 가로보기와 함께 세로보기 기능을 제공한다. 세로보기를 선택하면 외규장각 의궤 원본과 유사한 배경화면과 인찰선(印札線) 위에 대두법(擡頭法, 왕과 왕비, 왕실 구성원 등을 높일 때 줄을 바꾸어 기준선보다 한 글자 혹은 두 글자 이상 올려 쓰는 것)과 주석(세주) 등을 그대로 살려 외규장각 의궤 원본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된 원문을 열람할 수 있다.

행사의 장면을 그린 반차도 내에 기록되어 있는 관직명, 의장물 등의 용어를 추출하여 해당 용어를 클릭하면 반차도 내의 해당 위치로 이동하고 간략한 해설도 볼 수 있다 

   
▲ 그림2. 합성된 반차도 이미지

   
▲ 그림3. 외규장각 의궤 학술총서 2 표지

아울러 새로 개편된 외규장각 의궤 누리집 자료실에는 201412월에 펴낸 외규장각 의궤 학술총서 2-외규장각 의궤의 장황PDF파일 형태로 공개한다. 

서책의 본문과 표지를 묶어서 장식하는 예술이자 기술인 장황(粧䌙) 서책의 가치와 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형식으로, 당대의 예술과 기술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왕의 열람을 위해 제작된 어람건(御覽件)인 만큼 장황에 사용된 여러 재료들이 분상건(分上件)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은 여러 기록에 나타나 있다. 

이 총서는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와 사용된 금속비단종이 따위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자료로, 추후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외규장각 의궤 종합DB 구축󰡕 2차년도 사업 결과 총 297책 중 222책에 대한 디지털화 작업을 완료하였으며, 20161월까지 297책 전책의 디지털화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석현 기자 asadal1212@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