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삼현육각피리보존회 발표회 보러 갈까?

  • 등록 2015.03.29 11:22:18
크게보기

[한국문화신문 = 정석현 기자]  단원(檀園) 김홍도의 “무동도(舞童圖)”에는 왼쪽부터 좌고, 장구, 피리2, 대금, 해금 순서대로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이것을 우리는 삼현육각이라 부르는데 조선시대 보편적인 향악 악기 편성이었다. 그 삼현육각이 해방 뒤 맥을 이어오던 해금산조와 시나위 명인이었던 지영희(池瑛熙) 선생이 세상을 뜬 뒤 그 맥이 끊길 뻔했다.  

그러던 것을 7년 전부터 삼현육각보존회가 만들어져 그 맥을 이어왔는데 지난해 피리, 대금, 해금이 각각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 가운데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피리 예능보유자가 된 최경만 명인의 삼현육각피리보존회가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으로 오는 3월 31일(화)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제1회 삼현육각피리보존회 발표회를 갖게 된다.

 

   
 

이번 공연은 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의 해설로 대영산(민간관악영산회상), 경기도살풀이, 서도민요(영변가, 배꽃타령, 삼동주타령,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 호적풍류, 대풍류 등을 연주하게 된다. 특히 첫 공연인 대영산은 최경만 명인과 함께 김효도, 김세현, 김어진 등 15명의 피리 연주자들이 대금 원완철, 해금 이동훈, 장고 윤순병, 좌고 김성엽과 함께 연주하여 청중의 귀를 사로잡을 것으로 보인다.

 

정석현 기자 asadal1212@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