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단결선언문서> 등 2건 문화재 등록

  • 등록 2015.12.08 12:28:00
크게보기

문화재청, <고종황제 하사 족자> 문화재 등록 예고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대동단결선언문서><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문화재로 등록하고, <고종황제 하사 족자> 문화재로 등록 예고였다. 

이번에 등록된 등록문화재 제652<대동단결선언문서>는 신규식, 박용만, 조소앙 등 해외 독립운동가 14명이 통합적인 독립운동조직을 결성하려는 뜻을 가지고 민족대회를 소집하기 위해 19177월 국내외 민족 운동가들에게 작성한 한글과 한문으로 된 문서이다. 독립기념관이 1985년경 도산 안창호의 딸인 안수산에게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 

 

   
▲ <대동단결선언문> 앞 표지(왼쪽), 대동단결의 선언

   
▲ <대동단결선언문> 제의와 강령(왼쪽), 대표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사적 전통에 근거한 주권불멸론(主權不滅論)을 이론화하여 1910년 순종의 주권 포기를 국민에 대한 주권양여로 보고 국민주권설을 정립한 후, 일본이 국토를 강점하고 있으므로 재외 동포가 주권을 행사해야 하며, 이에 재외 동포가 민족대회의를 개최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자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대동단결선언문은 일본에 대한 투쟁 선언서라기보다는 국민주권을 사하기 위하여 독립운동 세력의 대동단결과 임시정부 수립을 촉구하는 선언서라 할 수 있다. 이는 1917년까지 다양하게 전개되던 독립운동의 이론을 결집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번에 등록된 등록문화재 제653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191951일 손정도 목사 등 한국 기독교계 대표 11명이 만국 예수 교우에게라는 제목의 한글 편지를 작성한 후 영문으로 번역한 호소문이다. 이 호소문은 1904세브란스 병원을 설립한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 박사의 증손녀인 쉴라 호린(Sheila Horine)이 올해 기증하여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영문)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된 호소문은 당시 일제의 능욕과 악행이 계속되지 않도록 전 세계 기독교도의 지지와 지원을 당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문 제목은 ‘An Appeal to the Christian World’로 기독교 대표들이 일제의 만행을 폭로하그 사실을 전 세계에 알렸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되어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고종황제 하사 족자>19세기 말기에 정부(대한제국)가 고종의 주치의였던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에게 하사한 족자이다. 에비슨은 18938월 말에 서울에 도착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고종의 피부병을 치료한 인연으로 주치의가 되었고, 이후 10년간 왕실의 주치의로 활동한 캐나다 출신의 의료 선교인이다.  

이 족자의 특이한 점은 수급자의 오른쪽과 가운데 쓴 글의 위쪽에 각각 의비신 대인 각하’, ‘투량뎨요뎨시무함과 같이 한글 음을 작은 글자로 함께 적어 놓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족자의 아랫부분에도 가운데 쓴 글에 대해 작은 글자로 한글 풀이를 적어 놓았는데 이는 아마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인을 배려하여 적은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 10행에는 가운데는 태극문양, 외부에는 괘와 글씨가 있는 작은 인장이 찍혀져 있다.

* “됴흔 약을 가지고 잘 쓰법은 팔쳔삼팔십 여년젼에 요라는 황뎨에 텬하에 뎨일 되는 무함이라 의원과 도다라는 국역문이 9행에 걸쳐 작은 글씨로 필사되어 있음 

 

   
▲ 고종황제 하사 족자

   
▲ 고종황제 하사 족자(9줄의 한글로 쓴 아랫부분)

이 족자는 에비슨이 고종의 시의(侍醫, 임금과 왕족의 진료를 보던 의사)를 지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국왕과 정부가 서양의술의 탁월함을 인정한 기록물인데다가 에비슨의 후손들에 의해 기증된 환수문화재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 

이번에 등록 예고된 <고종황제 하사 족자?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