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 궁궐을 짓는데 쓴 소나무 “황장목”

  • 등록 2006.10.16 02:38:36
크게보기

829. 궁궐을 짓는데 쓴 소나무 “황장목”

경복궁 등 조선시대 궁궐은 모두 소나무로만 지었는데 이는 소나무가 나무결이 곱고 나이테 사이의 폭이 좁으며 강도가 높고, 게다가 잘 뒤틀리지 않는 까닭입니다. 또 벌레가 먹지 않으며, 송진이 있어 습기에도 잘 견뎠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나무의 속 부분이 누런빛을 띠는 소나무만 건축재로 썼고, 당시에 가장 중요한 수송수단이던 배를 만드는 조선재와 죽은 사람의 관을 짜는데 썼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속이 누런 소나무를 '황장목(黃腸木)'이라 불렀으며 '황장금표' 등의 표식을 세워 '보호하고 육성하는데 힘썼지요. 또한 정조 때는 ‘송목금벌(松木禁伐)’이라 해서 소나무 베는 것 자체를 금지하기도 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가장 좋아하는 나무’를 조사했는데 여기서 30년 동안 1위를 차지할 만큼 소나무는 우리 겨레의 나무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