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 펴내

  • 등록 2021.04.03 11:54:25
크게보기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역사중점연구 제10권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3월 31일(수), 서울역사중점연구 제10권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을 펴냈다. 서울역사편찬원에서는 서울 역사의 미개척 및 취약 분야 연구를 장려하고자, 2016년부터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를 기획하여 편찬하였다. 신진연구자의 발굴을 통하여 서울역사 전문가의 저변을 꾸준히 확대해 가고 있으며,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은 그 시리즈의 제10권으로 발간된 것이다.

 

 수록된 총 7편의 서울 상업 관련 연구논문은 상업이 번성했던 조선 후기 서울의 단상을 여러 소주제별로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상인으로 분류되는 시전상인·공인(貢人)·사상(私商)뿐만 아니라, 관청·유학자들부터 품삯꾼, 천주교회까지 다양한 주체들이 서울의 상업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변화시켜갔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동환(KAIST 교수)는 ‘조선 후기 서울의 상업공간과 도성’을 통해서 한양 도성 안팎에 위치한 시전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한양의 상업공간은 특권상인의 시전으로 대표되는 만큼, 시전상인들의 영업공간을 도성 안과 도성 밖으로 구분하여 그 변화상을 확인하는 것은 조선 후기 서울 상업 공간의 가장 기초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조영준(서울대 교수)는 ‘조선 후기 한성부의 방계와 시전’을 통해서 한성부의 부(部)·방(坊)·계(契)의 변동을 통한 서울 상업상을 고찰하였다.   한성부 최말단 행정단위인 340여 개의 계 명칭 가운데 약 10% 정도는 시전의 특성이 반영된 명칭이 있다는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생식계(生殖契)·토주계(吐紬契)·수주계(水紬契)의 경우는 면주전과 관련된 명칭이다.

 

 세 번째로 김미성(연세대 연구교수)는 ‘조선 후기 서울지역 고군의 분포와 집단행동’에서 서울 상업 발달에 따른 품삯꾼들의 활동을 다루었다.

 

 네 번째로 한효정(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는 ‘조선 후기 서울민의 공인권 소유와 운용 방식’에서 서울 내 약재(藥材) 공인들의 교역권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로 이석원(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 ‘19세기 서울지역 천주교회 목판인쇄소 운영과 서적 유통’에서는 천주교의 확산에 따라 천주교 서적 보급을 위한 목판인쇄소가 서울에 운영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여섯 번째로 백승철(전 연세대 교수) ‘조선 후기 서울 관청과 군문의 상업 활동’에서는 서울의 관청들이 상업경영에 참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윤석호(연세대 용운연구교수)는 ‘서울의 상업에 대한 조선 후기 실학자의 고법적 개혁론’에서 조선의 실학자들이 당시 현실 사회에서 상업이 발전하는 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혁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의 가격은 1만 원이고, 시민청 지하 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하여 온라인(https://store.seoul.go.kr)을 통해서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를 비롯한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는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 과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ttps://history.seoul.go.kr)에서 제공하는 전자책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다.

 

 한편, 서울역사편찬원에서는 ‘서울역사중점연구’ 발간 사업은 향후에도 지속된다.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는 전년도 공모한 연구과제에 대해 엄중한 심사를 거쳐 연구팀을 선정하고, 1년간 연구하여 집필한 결과를 이듬해 시리즈로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한 ≪조선 후기 서울 상업공간과 참여층≫은 2020년도 에 선정된 첫 번째 과제의 결과물이다. 두 번째 과제의 결과물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는 올해 6월에 발간할 예정이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 책의 발간을 계기로 서울 속 다양한 주체들의 상업 활동에 대한 관심과 후속연구가 이어지며 2천년 서울 역사의 체계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더 좋은 ≪서울역사중점연구≫를 발간하도록 많은 연구자와 시민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전수희 기자 rhsls645@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