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서리 고려백자 가마터에서 왕실 제기 다량 출토

2022.04.25 12:29:59

고려 왕실제기인 보(簠), 궤(簋) 등 양호한 상태의 완전한 모양의 제기들 확인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의 허가를 받아 용인시(시장 백군기)와 (재)서경문화재연구원(원장 임영호)이 조사한 용인 서리 고려백자 가마터(사적)에서 고려 초기의 백자 생산관련 시설과 왕실 제기가 출토되었다.

* 용인 서리 고려백자 가마터: 1980년대 호암미술관이 고려 시대의 자기 가마터를 조사하여 사적으로 지정된 유적(1989.1.14.)

* 제기(祭器): 제례에 사용되는 그릇과 관련 도구들

* 발굴현장: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335-1번지 일원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고려 초부터 백자를 생산했던 가마터로 중국의 자기제작 기술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한 몇 안 되는 대표적인 가마 가운데 하나다. 1984년부터 3차례 걸쳐 발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지난해 6월부터 사적 남쪽 구역을 제4차 발굴조사 중이다. 조사결과, 건물지와 답도(통로), 계단, 저장구덩이, 폐기장 등 백자 가마 관련 시설이 확인되었고 유물로는 고려도자의 가장 이른 형태인 선해무리굽 백자사발을 비롯하여 각종 제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유물들은 이곳이 고려 초기부터 백자를 생산하면서 한편으로는 왕실에 제기를 공급한 주요 생산지임을 알려준다.

* 선해무리굽: 고려 초기 청자나 백자 첫사발(완)의 굽형태 가운데 하나로 굽의 접지면이 둥근 띠를 이룸. 해무리굽에 앞선 형식으로 중국 오대(五代) 시기에 제작된 옥환저(玉環底)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어 오대 도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됨

 

특히, 조사지역의 북쪽 건물터 외곽 구덩이 한 곳에서 보(簠), 궤(簋) 등의 왕실 제기와 갑발(匣鉢) 등 2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완전한 모양의 제기가 다량으로 출토된 사례는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보와 궤는 중국 송나라 때 출판된 <삼례도>와 <고려도경> 등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왕실의 제기로, 고려도자 연구는 물론, 왕실의 통치철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보(簠): ‘벼와 조’를 담는 그릇’으로 외면은 네모난 형태, 내면은 원형의 형태임

* 궤(簋): ‘기장’을 담는 그릇’으로 외면은 원형, 내면은 네모난 형태임

* 갑발(匣鉢): 가마 안에서 재가 묻거나 불길이 직접 닿지 않도록 도자기에 씌우는 큰 그릇

 


 

 

도자제기는 유교적 정치이념을 통해 국가를 통치했던 고려 왕실이 국가제사를 지낼 때 썼던 그릇으로 1059년 (고려 문종 13년)에는 제기도감(祭器都監)까지 설치하여 관리하기도 하였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양호한 상태의 제기가 다량으로 출토된 건물터 일원은 용인 서리 고려백자 가마터 안에서 왕실 제기를 공납하기 전에 선별작업을 하던 곳이거나 임시 보관소, 혹은 공납 후 불필요한 제기를 일시에 폐기한 장소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통해 고려 왕실 제기의 제작과 납품 과정은 물론, 용인 서리 유적의 역사적 의미를 재확인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