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꿈처럼 사라지리

  • 등록 2022.07.07 11:00:59
크게보기

평창강 따라 걷기 14-3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제14구간 답사 후기>

 

제14 구간 답사를 마치고 시간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김삿갓 문학관을 방문하였다. 김삿갓문학관은 답사 종점에서 24km 남쪽에 있었다. 김삿갓(1807~1863)은 57살의 나이로 전라도 동복(지금의 화순군)에서 객사하였다. 죽고 나서 3년 동안 가묘 상태로 있다가 둘째 아들 익균이 뒤늦게 유해를 영월로 운구하여 하동면 노루목 골짜기에 묻었다. 그의 무덤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는데, 1982년에 영월의 향토사학자 박영국 선생의 노력으로 처음 발견되었다.

 

2003년에 개관한 김삿갓문학관이 있는 지점의 명칭은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였다. 그런데 영월군에서는 2009년에 하동면을 김삿갓면으로 변경하였다. 관광객을 끌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김삿갓면은 날로 인구가 줄고 있어서 큰 고민이다. 김삿갓면의 인구수는 2021년 현재 1,700명에 불과하다. 내가 사는 봉평면의 인구수 5,700명에 견주어도 너무 적다.

 

영월에서 남쪽으로 88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우회전하여 김삿갓계곡으로 들어갔다. 김삿갓계곡은 우리가 걸었던 금당계곡이나 뇌운계곡 못지않게 계곡이 깊고 길었다. 차창으로 보이는 가을 단풍이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다시 한번 찾고 싶은 계곡이었다. 계곡길을 따라 6km쯤 들어가자 김삿갓문학관이 나타났다.

 


 

 

문학관 2층에서 <방랑시인 난고 김삿갓 한시집>을 샀다. 김삿갓문화제 위원장인 엄흥용 선생이 펴낸 한시집이다. 엄흥용 선생은 나에게 익숙한 이름이다. 영월 구간 답사기를 쓰면서 나는 엄 선생이 저술한 《영월 땅이름의 뿌리를 찾아서》라는 책을 많이 인용하였다. 김삿갓 한시집은 2004년에 초판을 인쇄했다. 내가 산 책은 2014년에 찍은 4쇄 본이다. 시간 여유를 가지고서 꼼꼼히 읽어보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김삿갓은 자유인이었다. 그는 범부들이 추구하는 풍족한 의식주로부터 자유로웠다. 그는 가족으로부터 자유로웠다. 사랑으로부터 자유로웠다. 당시 사회를 짓누르던 유교 윤리와 관습으로부터 자유로웠다. 사학자 이이화 선생은 김삿갓을 이렇게 평했다.

 

“그는 세상을 환히 알고 있었다. 거들먹거리는 양반의 모습, 거짓에 찬 훈장의 몰골, 정에 굶주린 기생, 굶주림에 허덕이는 농민, 수탈만을 일삼는 벼슬아치···. 그의 눈에 비치는 것은 모두 가식과 위선이었다. 이런 현실을 보고 그는 풍자와 해학을 일삼았지만, 실제는 달인의 경지에 이르러 있었다. 중도 도인도 아닌 탈속의 달인, 이것은 그의 행동과 모습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었다.

 

그는 술만 보면 통음을 했다. 실컷 마시고 나서 싯줄을 지어놓고 떠들다가 때로는 대성통곡을 일삼기도 했다. 주위 사람들에게, 중국의 시인 굴원(屈原)이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고 통곡한 사연을 떠올리게도 했던 것이다. 세수하지 않아 땟국이 줄줄 흘렀고 옷과 신발이 해지거나 너덜거려도 꿰맬 줄을 몰랐다. 추위와 더위, 배고픔과 배부름, 좋고 나쁨, 허위와 진실이 그의 행동을 제어하지 못했다.“

 

그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어떻게 했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는 죽음으로부터도 자유로웠을 것이라고 나는 추측해본다. 그는 한반도 역사에 등장한 인물 가운데서 가장 자유로운 인물이지 않았을까?

 

평창강 답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모두 고희(70살)를 넘겼다. 살아갈 날이 살아온 날보다 훨씬 적게 남았다. 요즘 나의 인생의 목표는 어떻게 잘 살 것인가에서 어떻게 잘 죽을 것인가로 바뀌었다. 어떻게 하면 잘 죽을 수 있을까를 궁리하다가 생소한 이름의 모임 하나를 만들었다. 평창강 따라 걷기를 처음 시작했던 세 사람이 작년 겨울에 ‘곡끊모’라는 이름의 모임을 만들었다. 사연은 이렇다.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린 다음 날인 2020년 2월 18일, 세 사람이 오대산 두로령까지 등산했다. 하얀 설경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등산길이었다. 두로령에서 상원사로 내려오면서 이런 멋진 설경을 몇 번이나 다시 볼 수 있을까, 우리가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었다. 요즘 흔히 하는 말로 100살 시대라고 하지만 100살까지 사는 것이 정말로 좋은 것일까? 의문이 든다.

 

100살 시대의 문제점은, 연세대의 김형석 명예교수처럼 건강한 몸으로 100살을 산다면 좋겠으나 건강하게 100살까지 사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는 사실이다. 뇌졸중이나 치매 또는 파킨슨병에 걸렸는데 100살까지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병이 나서 누워만 있게 되면 당사자는 오히려 빨리 죽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놈의 병이라는 것이 본인의 의지에 따라서 오가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말이다. 병에 걸려 투병하다가 기력이 쇠진하여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추한 모습 보이지 말고 곡기를 끊고 스스로 죽는 것이 아름다운 마무리가 아닐까?

 

텔레비전을 통해서 동물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늙은 코끼리나 늙은 사자는 억지로 생명을 연장하지 않는다. 조용히 무리에서 사라져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 대부분은 아사한다. 유독 사람만이 홀로 죽지 못한다. 움직이지도 못하는 환자를 중환자실에 옮겨 놓고서는 줄을 끼우고 폄프를 달고 주사기를 꽂고 등등 요란하다. 다른 짐승들은 사람처럼 요란하게 죽지 않는다. 유독 사람만이 유별나다. 의학이 발달한 덕분이다.

 

그날 세 사람은 죽음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였다. 오대산 두로령에서 내려오면서, 아름다운 설경을 바라보면서, 우리는 ‘곡기를 끊고 죽는 모임(곡끊모)’을 결성하였다. 회장은 제일 연장자인 시인마뇽이 당분간 맡기로 했다. 곡끊모는 아직도 회원은 세 명에 불과하다. 회칙도 없고 회비도 없고 정기모임도 없는 매우 느슨한 모임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중에 관심 있는 분은 곡끊모 회장님에게 연락을 주기 바란다.

 

김삿갓문학관 방문을 마치고 시인마뇽은 영월역에서 기차 타고 돌아갔다. 나머지 7명은 흥정계곡에 있는 허브나라로 갔다. 허브나라 펜션에서 1박 하면서, 쉽게 표현하면, 종강파티를 하였다. 저녁 식사를 하기 전에 석영이 답사팀을 대표하여 나에게 선물을 전달했다. 석영이 쓴 무심유정(無心有情)이라는 시를 은곡 도마에 새겨 만든 선물이었다. 고마운 일이다.

 

無心有情

 

그해 우리는 無心의 부름에

호응하여 평창강을 걸었다.

 

우리 함께 걸었던 평창강 길은

밤이면 은하로 하늘길을 열고,

새벽이면 안개로 흘러

우리들 마음에

우정의 타래를 풀어놓았다.

어찌 서로에게 감사가 없으랴.

 

2021년 11월 4일

박인기 오종실 우명길 이규석

원영환 최돈형 홍종배

 

 

 

 

<평창강 따라 걷기를 모두 끝내며>

 

2020년 11월 11일에 세 사람이 평창강 제1구간을 걷기 시작하였다. 겨울 석 달, 그리고 여름 두 달을 제외하고 7달 동안 우리는 평창강 220km를 14구간으로 나누어 걸었다. 가장 적게는 3명에서부터 가장 많게는 11명이 함께 걸었다. 2021년 11월 4일에 우리는 마지막 구간을 걸었다. 평창강을 따라 걷는 동안 1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아름다운 평창강의 모습은 사진으로 남았다.

기억하고 싶은 소중한 시간은 동영상으로 남았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은 답사기로 남았다.

 

내가 경험한 모든 것은 기억 속에서 존재한다.

기억으로 존재하다가 차차 희미해지고

머지않아 사라질 것이다.

꿈처럼 사라질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것이 꿈이 아니겠는가?

 

내가 작년에 배운 남도 민요 육자배기 흥타령의 마지막 연 가사는 다음과 같다.

 

꿈이로다 꿈이로다 모두가 다 꿈이로다

너도 나도 꿈속이요 이것 저것이 꿈이로다

꿈 깨이니 또 꿈이요 깨인 꿈도 꿈이로다

꿈에 나서 꿈에 살고 꿈에 죽어 가는 인생

부질~ 없다~

깨어나는 그 꿈을

꾸어서 무엇을 헐거나

 

▲ 남도민요 '육자배기' <흥타령> 모든것이꿈이로다 (소리 이상훈 교수)

   

 

(끝)

 

 

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muusim2222@daum.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