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어사, 진주에 출또하다

  • 등록 2025.10.07 10:57:58
크게보기

국립진주박물관 특별전 ‘암행어사, 백성의 곁에 서다’ 열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은 지난 10월 1일부터 오는 2026년 2월 22일까지 특별전 ‘암행어사, 백성의 곁에 서다’를 열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국내 처음 암행어사(暗行御史)를 주제로 한 전시다. 이번 전시는 익숙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암행어사를 자세히 살펴보고, 국립진주박물관의 새로운 전시 콘텐츠 개발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암행어사의 상징으로 알려진 마패(馬牌)를 비롯해 관련 전시품 105건 132점(보물 4건 4점 포함)을 선보인다.

 

 

암행어사는 조선시대에 임금의 지시를 받아 신분을 감춘 채 백성의 삶을 살피고 악한 이를 응징한 특별한 관리이다. 이 전시에서는 암행어사의 기원과 상징, 그들이 백성의 곁에서 펼친 활동, 과거와 현재의 사람들이 암행어사를 기억하고 추억하는 여러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한다.

 

전시는 4부로 구성된다. <1부: 특별한 명령을 받은 관리, 어사>에서는 어사(御史)의 개념과 암행어사의 등장 배경을 살폈다. 조선시대 어사들이 받은 도장 <봉사지인(奉使之印)>, 암행어사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실린 《중종실록(中宗實錄)》 등이 눈길을 끈다.

 

 

<2부: 조선의 비밀관리, 암행어사>에서는 암행어사 관련 제도의 내용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암행어사의 상징 봉서(封書, 임명장)ㆍ사목(事目, 업무규정)ㆍ마패(馬牌, 역마를 이용하는 증표)ㆍ유척(鍮尺, 규격을 재는 자)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여러 국립박물관이 소장한 여러 재질의 마패 16점(14~18세기 제작)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눈길을 끈다.

 

<3부: 암행어사 출또하다>에서는 암행어사가 백성의 곁에서 어떻게 활동했는지를 소개한다. 암행어사의 행적을 기록한 자료, 암행어사로 널리 알려진 박문수(朴文秀, 1691-1756)를 비롯한 어사 6명의 초상(肖像)을 볼 수 있다. 또 암행어사가 신분을 드러내는 ‘어사출또’의 의미와 그들이 백성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모습도 엿볼 수 있다.

 

 

<4부: 암행어사를 기억하다>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사람들이 암행어사를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 임금이 어사를 위해 지은 글과 백성이 그들의 선정을 잊지 않기 위해 세운 비(碑)의 탁본을 비롯하여, 암행어사를 주제로 한 소설·드라마·영화 등 콘텐츠를 두루 살펴볼 수 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제마다 다양한 삽화와 영상을 배치하였다. 아울러 제14기 진주어린이박물관학교 졸업생이 어린이 전시기획자가 되어 전시에 참여하였다. 어린이 설명카드와 학습지를 직접 제작했고, 11월부터는 매주 주말 안내원으로 활동한다.

 

전시를 기획한 허문행 학예연구사는 “익숙하면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암행어사가 백성을 위해 펼친 활동과 참뜻을 살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장용준 관장은“이번 특별전은 국립진주박물관이 추진 중인 새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 개발에 바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추석 연휴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바란다”라며 많은 관람을 부탁하였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