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륙도(五六島)
있는 것 안 보일 때 있는 인생 (초)
안 보이는 것 볼 때 있는 인생 (심)
안 보일 때 다섯 보일 때 여섯 (빛)
나고 사라짐, 유무형의 공존 (돌)
... 25.10.10. 불한시사 합작시

부산의 오륙도는 잘 알다시피 다섯 개나 여섯 개로 달리 보이는 섬들로 유명하다.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방패섬, 솔섬, 굴섬, 촛대섬, 수리섬, 등대섬 등으로 불리는 부산의 대표적 표징 같은 섬이기도 하다. 이 가운데 방패섬과 솔섬이 조수가 빠지면 다른 섬처럼 뵈지만, 조수가 들면 연결되어 하나로 보이기에 그렇게 불렸다.
바다속 작은 섬들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왜 오륙도를 떠올리는가? 본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해준다. 5와 6이 아니라 수면 아래로 내려가면 섬은 사라지고 모두 하나, 한 뿌리임을 깨닫게 하는 귀한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 해양의 관문인 부산바다에 서 있는 유구한 천연의 상징물이라 할 만하다. (옥광)
ㆍ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의 불한티산방에서 만나는 시벗들의 모임이다. 여러 해 전부터 카톡을 주고받으며 화답시(和答詩)와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합작시의 형식은 손말틀(휴대폰) 화면에 맞도록 1행에 11자씩 기승전결의 모두 4행 44자로 정착되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으로 싯구를 주고받던 옛선비들의 전통을 잇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