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을 호위하라!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 연다

  • 등록 2025.10.23 12:16:57
크게보기

조선 임금이 직접 호위군 살피는 군사 의식 고증해 재현
하루 2회 무예 체험도 운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하루 2회(낮 11시, 낮 2시) 경복궁(서울 종로구) 흥례문 광장에서 「2025년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 행사를 연다.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은 《경국대전》 「병전」의 ‘첩종’과 《국조오례의》 「군례」의 ‘대열의(大閱儀)’ 기록을 바탕으로 임금이 직접 행차하여 호위군의 진법(陣法)과 연무(鍊武)를 사열(査閱)하는 모습을 극 형식으로 재현하는 행사이다.

* 대열의: 군사들의 무예 대결 등이 이루어지는 군사 의례로, 임금이 직접 지휘함.

* 진법: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군대를 배치하는 방법

* 연무: 무예 시연

* 사열: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살피는 일

 

 

‘첩종’은 종을 연달아 치는 것으로, 조선시대 임금이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호위군을 직접 살피는 군사 의식이다. ‘첩종’이 시행되면 궁궐에 입직한 군사를 포함하여 문무백관과 오위(五衛)의 병사들까지 모두 집합하여 어전사열(御前査閱)을 받는다. 이는 군율을 다스려 국가의 근본을 유지하고, 임금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의지를 보여주는 의례이다.

* 오위: 조선시대 중앙 군사 조직으로, 좌위(용양위), 중위(의흥위), 우위(호분위), 전위(충좌위), 후위(충무위)로 구성

* 어전사열: 국왕 앞에서 군사의 훈련 정도나 상태를 점검

 

이번 행사에서는 고증을 바탕으로 재현한 조선 전기의 복식과 무기, 의장물을 포함하여 다대다 전투, 일대일 무예 대결 등을 관람할 수 있어 흥미를 더할 예정이다. 본 행사에 앞서 10월 30일에는 공개 시범(낮 11시)과 언론 대상의 언론 예행연습(낮 2시)도 진행되며, 행사는 별도의 예약 없이 현장을 방문하는 관람객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경복궁 협생문 옆 훈련장에서는 조선시대 무관 복식인 ‘철릭’을 입고 궁술, 팽배(방패)술, 봉술, 창술 등의 무예를 배우는 ‘갑사 취재(甲士 取才) 체험’이 하루 2회(아침 10시, 낮 1시) 진행된다. 취재에 참여하여 갑사로 뽑히는 참가자에게는 임명장과 수문장 캐릭터 기념품이 제공된다. 체험은 회차당 50명으로, 온라인(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1516927)을 통한 사전예약 25명과 현장 접수 25명으로 진행된다.

* 갑사: 조선 전기의 시위병이자 중앙군의 정예병

* 취재: 조선시대 하급관리를 채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던 시험제도의 일종

 

더욱 자세한 사항은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khs.go.kr)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kh.or.kr)을 참조하거나 국가유산진흥원(☎ 02-3011-7750)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