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용산 개관 20돌을 맞이해 ’조금 특별한 관람’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을 개최한다. 10월 22일(수)부터 12월 28일(일)까지 상설전시관에서 이루어지는 이 행사는 ‘20점의 유물, 20년의 기억’을 찾아가는 관람 프로그램이다. 용산 개관 이후 20년 동안 박물관의 학술 연구와 전시 기획 등 다양한 활동으로 새로운 값어치를 축적하며 관람객들과 함께 성장해 온 여러 소장품들 가운데 20점을 뽑았다(붙임 1). 상설전시관 곳곳에 전시 중인 이들을 따라가는 여정에는 지난 20여 년 동안 각 유물과 남다른 인연을 맺어 온 박물관 사람 20여 명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여정의 시작은 역사의 길이다. 이곳에는 지난 20년의 여정과 시간의 축적을 형상화한 상징 조형물이 설치되어(붙임 2) 출발을 돕는다. ‘시간의 단위가 켜켜이 쌓이며 특정 시점에서 20이라는 상징이 선명해지는’ 구조의 조형물은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한다‘라는 의미를 시각화하면서 20점의 유물과 이야기의 표제, 전시 위치, 관람 방법 등을 안내한다. 함께 제시한 정보 무늬(QR)로 모바일 누리집(nmk20.com)에 접속해 20개 유물의 전시 위치를 확인하고, 각각의 전시실을 찾아 유물을 관람하며 오디오 등의 형태로 이야기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새로운 관람 경험 – 함께 성장한 유물과 사람들의 이야기
’조금 특별한 관람’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은 나만의 관람 동선을 설계하며 ’알고 있는 유물’, ’한 번쯤 가본 박물관’을 다른 관점에서 다시 찾게 할 수 있다. 2005년 박물관이 용산에 터를 잡을 때 역사의 길에 놓인 경천사 십층 석탑, 새롭게 조성된 아시아관의 중앙아시아 벽화와 야외 정원의 불상, 발견과 해석으로 새로운 생명력을 얻은 조선활자와 이사지왕명 큰칼, ‘달멍’과 ‘사유’로 관람객을 매료시킨 달항아리와 반가사유상, 박물관 소장품의 확장성을 준 고구려 벽화 모사도와 유리건판 등 상설전시관 내외 곳곳을 따라가며 공간, 유물, 사람들의 이야기를 마주할 수 있다.
관람객은 상설전시관 전시품 관람뿐만이 아니라 선사ㆍ고대관 휴게실(고구려실과 백제실 사이)에 별도로 마련된 20골 공간에서 설명문, 영상, 오디오, ‘이야기 책’ 등 다양한 매체로 이들의 이야기를 다시 보고, 듣고, 읽을 수 있다. 특히 ‘이야기 책’은 조사연구, 전시, 유물 관리, 보존 처리 등의 역할자로 20점의 유물과 함께해 온 사람들의 대담을 정리한 것이다. 이 공간은 전시 관람 여정 속에서 함께 읽고 듣고 사색하는 또 다른 경험의 장소가 될 수 있다.
“관심을 가지고 넓고 깊게 고민하다 보면 어떤 유물이든 결국 말을 해요. 유물을 말하게 하는 역할, 그것이 박물관 사람이라 생각해요.”
“단순히 과거를 보여주는 전시가 아니라 지금의 우리가 공감할 수 있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줄 수 있는 그런 전시를 만들고 싶었어요.”
“유물의 새 가치와 이야기를 끊임없이 재발견해서 확장해 나가면,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박물관 경험도 확장되겠죠. 우리 역할도 넓어질 수 있고요.”
20개의 이야기 속에는 조사연구와 전시 등 박물관 사업 현장에서 이루어진 끊임없는 고민과 노력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조금 특별한 관람’은 박물관의 주인공인 유물 뒤에 가려졌던 사람들과 함께하는 새로운 박물관 경험으로 이어줄 것이다.

다채롭게 즐기는 20주년
이번 행사는 전시 관람과 공간의 경험에서 끝나지 않는다. 상징 조형물(역사의 길)→ 정보무늬 누리집(상설전시 관람 안내)→ 상설전시관(스탬프 투어)→ 20주년 공간(선사·고대관 휴게실)→ 기념품 수령으로 이어지는 경험은 단순히 유물을 보는 것을 넘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으며 박물관의 20돌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20년의 이야기, 유물과 사람>의 관람 여정 중 획득한 온라인 소인(스탬프) 수량에 따라 사진 엽서, 다회용(리유저블) 가방, 이야기 노트 등 특별히 제작한 한정판 기념품도 제공된다.
또한 박물관 문화재단과 함께 용산 개관 20돌 기림 스페셜 문화상품 10개 품목 25종을 신규 개발하였다. 이번 행사 기간 중 박물관 문화상품점에는 20돌 기림 한정판 마당이 별도로 마련된다.
유물의 값어치는 유물을 말하게 하는 사람들과 함께 끊임없이 확장된다. 또한 유물의 진정한 값어치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공유될 때 완성된다. 박물관 전시실에서 눈길을 멈추고 오래 머무르며 감탄했던 순간,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찾아 나눈 일상의 순간 하나하나가 모여 박물관과 유물의 값어치는 깊어지고 다양해진다. 용산 개관 20돌을 기념해 마련한 ’조금 특별한 관람’이 관람객과 함께 박물관의 다음 20년을 상상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