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보존과학의 새로운 시작

  • 등록 2025.10.28 11:04:00
크게보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 개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10월 28일 용산 이전 20골을 맞아 「보존과학센터」를 개관한다. 이번 보존과학센터 개관은 1976년 보존기술실로 시작된 국립중앙박물관의 보존 연구가 반세기를 맞이하는 시점에 이루어진 성과로, 그동안 우리 문화유산에 대해 축적된 인문학적 연구와 과학기술을 결합한 문화유산 보존 연구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보존과학센터는 총 연면적 9,196㎡ 규모로, 센터에는 유물 상태를 원격으로 진단하고 전문가가 실시간으로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진단실, 유물의 형태를 3차원으로 분석하는 3D 형상분석실, 재질별 맞춤형 보존처리를 수행하는 보존처리실, CT(컴퓨터 단층 촬영) 등 비파괴 조사 장비를 갖춘 비파괴 조사실, 전자현미경 등 분석 장비를 활용한 분석실, 박물관 환경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환경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존과학 인력의 전문 교육을 위한 교육실과 전문가 회의 및 세미나가 가능한 세미나실까지 포함되어 연구와 교육, 현장 지원을 아우르는 종합 보존과학 허브로 나아갈 예정이다.

 

개관전시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 열어

보존과학센터 개관을 기려 특별전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가 센터 1층 전시실에서 26년 6월 30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의 50년 여정을 되돌아보고, 과학과 기술, 그리고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미래 보존과학의 방향을 제시하며, 모두 3부로 구성되었다.

 

1부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의 역사’에서는 1976년 낡은 책상과 몇몇 도구만으로 출발한 초기 연구자의 열정과 헌신을 ‘보존과학자의 방’에 재현했다. 또한 1976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진 보존처리 장면들과 기록자료를 통해 박물관 보존과학의 발전사를 한눈에 엿볼 수 있다.

 

 

 

2부‘빛으로 보는 보존과학의 세계’에서는 보존과학의 핵심 도구인 ‘빛’을 활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 속 이야기를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선보인다.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엑스선 등 다양한 빛의 영역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유물 속 감춰진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초분광 분석을 통해 6세기 고구려 개마총 고분 벽화를 다양한 파장으로 분석하여 현재는 색이 바래고 흐릿하여 확인이 어려운 원래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또한,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된 국보 기마인물형토기의 CT영상을 관람자가 직접 조절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내부를 볼 수 있으며, 목조여래좌상의 CT 조사에서부터 복장물을 해체하는 보존처리 전 과정을 영상에 담아 과학적 보존처리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다.

 

3부 ‘보존과학이 열어가는 새로운 미래’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보존 패러다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1924년 경주 식리총 출토 금동신발을 3D 스캔, CT, 현미경 등으로 분석하여 식리총 금동신발의 원형을 디지털로 재현하였다. 그동안 별도로 보관되어 온 잔편들을 디지털 정합 기술로 결합해 100년 만에 완전한 형태를 재현했으며, 주조 성형과 U자형 고리 구조 등 제작기법을 새롭게 규명하여 처음 공개한다.

 

 

 

 

또한 현재 보존과학센터에서 구축 중인 50여 년 동안 축적된 보존 데이터를 통합하여 인공지능(AI) 기술과 결합시킨‘디지털 보존과학 시스템’을 기반으로, 향후 가상 복원, 값어치 평가, 원격 진단 등 다중 기능을 활용하는 미래 보존과학의 비전을 확인할 수 있다.

 

미래를 향한 보존과학의 새로운 비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는 앞으로 과학기술과 인문학이 융합된 문화유산 연구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유물 연구는 물론,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데이터 기반의 개방형 연구 환경 조성, 보존과학 전문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역할을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손상도 측정 및 보존처리, 기후 변화에 따른 환경 모니터링 및 대응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디지털 보존과학 시스템과 연계한 원격지원·원형복원 기술을 강화할 계획이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 개관은 우리 문화유산을 과학적으로 지키고 연구해 온 50년의 성과이자,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첨단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을 통해 세계 수준의 보존과학 연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성훈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