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래기와 우거지, 겨울철의 맛과 영양분

  • 등록 2025.11.01 12:12:47
크게보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5156]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이제 김장철이 다가왔습니다. 이때 김장을 마친 뒤에 집집이 무청을 말리던 정경이 그립습니다. 새파란 무청이 꾸득꾸득 말라갈 때 처마 밑으로 옮겨 달아 매두었다가 한겨울에 시래기 우거지국을 해 먹으면 밥 한 그릇을 후딱 해치울 정도로 꿀맛이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지금도 지방에서는 무청 말리기가 중요한 겨우살이 준비지요. 참 무청을 말려서 만든 것은 ‘시래기’라고 하지만, 배추 걷대를 말린 것은 우거지라고 합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무청 혹은 배춧잎 말린 것 모두 시래기라고 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래기나 우거지는 무청이나 배춧잎을 말린 것을 뜻하는 한국의 전통 식재료입니다.

 

 

시래기는 주로 무를 수확한 뒤 남은 줄기와 잎 부분을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 만듭니다. 시래기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를 돕고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철분, 칼슘, 베타카로틴, 비타민 B 등이 많아 겨울철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고 면역력 향상에 좋다고 알려졌습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햇볕에 말리는 과정에서 많이 생긴 비타민 D 덕분에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이며, 간 기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시래기는 된장국으로 끓여 먹고, 시래기 육개장 등 국거리 재료로 가장 흔하게 쓰입니다. 또 삶은 시래기를 들기름ㆍ된장 등으로 양념하여 볶아 먹는 시래기나물은 고소한 맛이 일품입니다. 그밖에 시래기밥, 시래기고추장전, 시래기불고기버거 등 이색적인 요리에도 활용도 되지요.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