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물구름: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보기월) 저렇게 낮게 깔린 구름은 얼음 알갱이가 아니라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진 '물구름'이래.
하늘에 있는 구름을 보며 우리는 온갖 것을 떠올리곤 합니다. 그런데 그 구름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아주 높은 하늘에 떠서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구름도 있지만, 우리에게 더 가까이 다가와 비를 뿌려주는 촉촉한 구름도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그 이름처럼 참 숨김없이 맑은 느낌을 주는, '물구름'입니다.
'물구름'은 말 그대로 '물'로 이루어진 '구름'입니다. 하늘 아주 높은 곳, 몹시 추운 곳에 떠 있는 구름은 작은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하늘 낮은 곳의 구름들은 거의 다 작은 물방울들이 뭉쳐서 만들어진 것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물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얼음 알갱이가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얼음이 아닌', '물방울'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또렷이 밝히고 있습니다. 하늘 높이 떠서 비단처럼 빛나는 '새털구름(권운)' 같은 구름이 '얼음구름'이라면, 우리가 흔히 보는 뭉게구름이나 비구름은 이 '물구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이 '물구름'이라는 말은 하늘에 떠 있는 구름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이 말이 더욱 빛나는 때는 바로 땅 가까이에서 피어오르는 짙은 물보라나 안개를 만났을 때입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 실린 보기월이 참 멋집니다.
"승철이는 폭포가 만들어 내는 거대한 물구름을 보며 그 비경에 감탄했다."
어떠신가요? 커다란 폭포가 세차게 떨어지며 만들어내는 뽀얀 물보라의 덩어리, 그 촉촉하고 큰 기운을 '물구름'이라고 부르니 그 바람빛(풍경)이 눈앞에 생생하게 그려지는 듯합니다.
우리의 나날살이(일상생활)에서도 '물구름'을 만날 수 있는 때가 많습니다.
저기 폭포 아래 좀 보세요! 물구름이 어찌나 자욱하게 피어오르는지, 보기만 해도 시원하네요.
오늘 아침에는 물구름이 자욱해서 한 치 앞도 잘 안 보이네요.
저렇게 낮게 깔린 구름은 얼음 알갱이가 아니라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진 '물구름'이래.
그저 '안개가 꼈다'거나 '물보라가 친다'고 말해도 좋지만 가끔은 "물구름이 자욱하다" 혹은 "물구름이 피어오른다"고 말해보면 어떨까요?
이 촉촉하고 생생한 우리말을 곁에 있는 이에게 나누어줄 때, 우리의 메마른 마음에도 싱그러운 '물구름' 한 자락이 피어오를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