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더없이 맑고 파란 하늘을 올려다볼 때, 누군가 하얀 솜에서 가느다란 실 한 올을 쭈욱 뽑아 하늘에 길게 그어 놓은 듯한 구름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바람결을 따라 흘러가는 그 가느다란 구름의 모습은 바라보는 이의 마음까지 차분하게 만드는 힘이 있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모습 그대로의 이름을 가진, '실구름'입니다.

'실구름'은 그 이름처럼 '실'과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아주 알기 쉽고 숨김없는 이름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실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실같이 가늘고 긴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실처럼 가늘고 긴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더할 나위 없이 또렷하게 그 모습을 그려줍니다. 구름의 높낮이나 이룸몬(성분)보다는, 오롯이 그 모양이 '실'처럼 가늘고 길게 이어진 구름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 토박이말입니다.
우리가 앞서 배운 '새털구름'이 깃털처럼 흩어지는 모양에 마음을 두었다면, '실구름'은 그 가운데에서도 유난히 가늘고 길게 이어진 모양새에 마음을 둔 이름입니다. 때로는 '새털구름'의 한 갈래가 '실구름'처럼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높은 바람에 찢긴 어떤 구름의 자락이 '실구름'처럼 보이기도 하지요.
'실구름'의 엷고 가느다란 모습을 우리 지음이(작가)들은 글 속에서 때새(시간)의 흐름이나 아련한 바람빛(풍경), 또는 나오는이(등장인물)의 덤덤한 마음을 그릴 때 즐겨 썼습니다.
강물은 무심히 흐르고 하늘의 실구름도 무심히 흘러가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옥화는 (...) 말없이 파란 하늘에 한 가닥 두 가닥 비껴가는 실구름을 쳐다보고 있었다. (김동리, 역마)
두 보기월 모두, '실구름'이 조용히 흘러가는 때새(시간)나 말없이 하늘을 바라보는 멈춤의 때에 참 잘 어울리는 말임을 보여줍니다.
우리 나날살이(일상생활)에서도 '실구름'이라는 말을 부려 쓰기에 좋은 때가 있습니다.
하늘 좀 봐. 꼭 파란 그림종이에 하얀 붓으로 실구름 몇 가닥을 쓱 그어 놓은 것 같아.
바람이 세게 부니까, 뭉쳐 있던 구름이 다 흩어지고 실구름만 남았어요.
저기 느긋이 흘러가는 실구름을 보고 있으니, 시끄럽던 마음도 조금 가라앉는 것 같아.
'실'이 무언가를 잇고 꿰매듯, '실구름'은 어쩌면 땅과 하늘을 가만히 이어주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날 하늘에서 '실구름'을 보시거든 꼭 둘레 분들에게도 '실구름'이라는 고운 이름을 알려 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