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어려운 한자말 대신 우리말을 쓰면 촌스럽나요?

  • 등록 2005.04.29 15:01:38
크게보기

305. 어려운 한자말 대신 우리말을 쓰면 촌스럽나요?

한국과학기술대학에 재학 중인 김용묵씨는 “한자파들은 우리말의 70%가 한자말이기 때문에 한자를 섞어서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글전용으로 한자를 줄이면서 문제를 해결해야지 그렇다고 한자를 더 배우고 쓰는 건 목마르다고 바닷물을 마시는 짓일 뿐이다.”라고 말합니다.

한자파들은 돈을 ‘갚다’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변제하다’라는 어려운 한자말을 씁니다. 잘 알아듣지 못할 어려운 한자말을 자랑스럽게 쓰면서 한자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난 체에 다름이 아닙니다. 쉬운 우리말을 쓰면서도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는데도 한자에 맹종하는 자세는 문화사대주의가 아닌지 반성해야 합니다. ‘적립금’을 ‘콩고물점수’로, ‘경매’를 ‘내가 값 매기기’로, ‘휴대전화’를 ‘손전화’로, ‘제휴’를 ‘같이하기’로 쓰면 촌스럽나요? 스스로 우리 말글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때 우리는 세계에 당당할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