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 화(靴, 鞾)와 이(履)로 나뉘는 전통신발

  • 등록 2005.05.02 15:03:09
크게보기

308. 화(靴, 鞾)와 이(履)로 나뉘는 전통신발

전통신발은 ‘화’와 ‘이’로 나뉩니다. 이중 ‘화’는 북방계의 신으로 신목이 붙어있는 지금의 장화와 비슷한 신입니다. 추위를 막거나 물이 젖지 않도록 하는데 좋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흑피화, 목화, 협금화, 수자화, 백피화, 초록화, 기자화, 오피화 따위가 있었습니다.

또 ‘이’는 혜(鞋), 비(扉), 구(屨), 극(屐:나막신), 석(舃), 갹답(蹻踏) 등 신목이 짧은 신을 두루 말하는 것으로 남방계의 신입니다. 형태는 목이 없는 요즘의 고무신과 비슷한데 재료로는 가죽, 옷감, 실, 풀, 종이, 나무, 금속 따위가 쓰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흑피혜, 분투혜, 투혜, 사피혜, 피초혜, 태사혜, 당혜, 운혜, 마혜, 진신 등이 있었습니다.

요즘 한복을 입을 때 태사혜(太史鞋)에 굽을 붙여 만든 갖신을 신기도 합니다. 한 학자는 자신의 책에 “한복에는 고무신이 원칙이다.”라고 말했는데 고무신은 일제강점기 때 들어온 신으로 ‘원칙’은 아닙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