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4. 갑옷도 만든 우리의 닥종이

  • 등록 2005.06.07 22:31:33
크게보기

344. 갑옷도 만든 우리의 닥종이

우리나라는 닥나무로 닥종이(한지)를 만들어 썼는데 쓰임에 따른 구분으로 신년을 축복하는 뜻으로 그림을 그리는 종이인‘ 세화지’, 얇고 깨끗하며 매끄러운 것으로 부채나 연을 만들 때 사용된 ‘편자지’, 장판의 유지나 창문에 쓰인 ‘후지’, 온돌장판용인 ‘온돌지’가 있고, 또 창호지, 계목지, 백지, 창지, 견양지, 공물지, 대산지 따위가 있었습니다.

특히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갑의지(甲衣紙)’는 전쟁터에서 화살을 막던 갑옷에 쓰인 종이입니다. 화살을 막기 위해서는 물론 철판을 써야 하지만 철판은 무겁기 때문에 대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철판 못지않은 갑의지를 썼던 것입니다. 한국방송(KBS)의 실험을 보면 두께 1mm인 갑의지를 10m 거리에서 쏜 국궁 화살이 뚫지 못하고, 부러져 버렸습니다. 이 갑의지는 옷칠을 해서 불에도 강했는데 우리 조상들의 슬기로움이 돋보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