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 ‘단오’란 이름의 뜻

  • 등록 2005.06.08 15:15:08
크게보기

345. ‘단오’란 이름의 뜻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합니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하지요.

음양사상에 따르면 홀수를 '양(陽)의 수' 라 하고, 짝수를 '음(陰)의 수' 라 하여 '양의 수'를 좋은 수로 여겼는데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 즉 설(1월 1일), 삼짇날(3월 3일), 칠석(7월 7일), 중구(9월 9일)를 명절로 지냅니다. 마찬가지로 5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단오도 명절인 것이지요.

조선 후기에 펴낸 ‘동국세시기’ 5월조에 보면 단오를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 했는데 이 날 쑥떡을 해 먹었고,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에 '수리'란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또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에서 수리로 불렀다는 말도 있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