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서투른 길을 끝까지 가겠습니다.

  • 등록 2005.08.02 23:08:47
크게보기

400. 서투른 길을 끝까지 가겠습니다.

“서투른 것은 교묘한 것의 반대다. 임기웅변의 교묘한 짓을 하는 사람은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부끄러움이 없는 것은 사람의 큰 병이다. 남들은 이익만을 찾지만 나는 부끄러움을 알아 그 이로움을 지키는 것이 서투름이다. 남들은 속임수를 즐겨 교묘한 짓을 하지만 나는 부끄러움을 알아 그 참된 것을 지키는 것이 서투름이다.”

조선 초 학자인 권근의 ‘졸제기(拙齊記)’의 이야기입니다. 세상은 교묘하게 임기웅변을 잘하는 사람이 인정받습니다. 서투르게 살면 때로 ‘저거 바보아냐?’ 하는 손가락질을 감수해야만 합니다. 서투름을 지킨다는 것은 부끄러움을 간직한다는 말입니다. 잠깐 눈을 질끈 감으면 다 속아넘어갈 텐데도 나 자신을 차마 속일 수가 없습니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의로움을 지키고 참됨을 간직하는, 남들은 다 가지 않는데 나는 굳이 찾아가는 길, 그 길이 서투른 길이며, 끝까지 가겠습니다.

(참고 : 죽비소리 / 정민, 마음산책)
“拙巧之反. 爲機變之巧者. 無所用恥. 無恥者. 人之大患. 人嗜於利而求進. 我則知恥. 而守其義者拙也. 人喜於詐而爲巧. 我則知恥而守其眞者. 亦拙也. 拙乎人棄而我取之者也.“ - 권근, ‘졸제기(拙齊記)’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