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4. 고려나 조선시대엔 남자 춤꾼들이 있었다.

  • 등록 2006.11.10 05:49:16
크게보기

854. 고려나 조선시대엔 남자 춤꾼들이 있었다.

고려 초기부터 음력 섣달 그믐날에 묵은해의 귀신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인 “나례(儺禮)”라고 하는 성대한 의식이 있었는데 이때 노래와 춤 및 온갖 놀이를 했습니다. 이를 위해 조선조 인조 때까지 “나례도감(儺禮都監)”을 두어 관장하고, 외국사신을 영접할 때도 쓰이며 이어져 왔다고 합니다.

이런 전통사회에서는 남자들이 노래와 춤을 주로 많이 했는데 궁궐에서 행해진 잔치에서는 ‘여령(女伶)’이라 하여 여자들뿐만 아니라 ‘무동(舞童)’이란 상당수의 남자 무용수들을 가르쳐 춤을 추도록 했는데 이런 무동의 춤추는 모습은 춤의 동작을 악보처럼 일정한 기호나 그림으로 기록한 책인 무보(舞譜)들 즉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와 “시용무보(時用舞譜)”들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렇게 남자들이 춤을 춘 것은 정제되어 있는 가운데 힘이 있는 춤에 남성들이 잘 맞기 때문일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