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9. 조선 임금의 수라상은 ’12첩 반상’이 아니었다.

  • 등록 2006.11.15 07:36:49
크게보기

859. 조선 임금의 수라상은 ’12첩 반상’이 아니었다.

그동안 우리는 조선시대 임금의 수라상이 반찬만 12가지인 ‘12첩 반상’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대전대 전통조리과 김상보 교수는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합니다.

정조임금이 화성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환갑잔치를 벌였는데 이때의 모든 내용이 ‘원행을묘정리의궤(1795)’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때 먹었던 잔치 음식이 ‘7첩반상’인데 반찬이 7가지가 아니라 장을 뺀 밥, 탕, 조치(찌개나 찜), 김치와 함께 양념 된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 불에 구운 음식인 적(炙), 젓갈, 자반 등의 3가지만 반찬으로 먹었습니다. 조선 임금의 식생활은 대부분 검소했으며, 평소 아침엔 죽을 먹었고, 가뭄이나 수해, 돌림병이 나면 임금이 물을 만 밥을 먹거나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다고 합니다. 갑오경장 이후 화려한 식생활로 바뀐 것을 조선 전체의 모습으로 보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