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 이익이 괴상하다고 비꼰 ‘당코깃저고리’

  • 등록 2006.12.29 06:08:08
크게보기

902. 이익이 괴상하다고 비꼰 ‘당코깃저고리’

“부녀의 짧은 저고리와 소매는 어떻게 생긴 것인지 모르지만 귀천이 같이 입으니 매우 한심하다. 더구나 여름 홑적삼은 위로 돌돌 걷어 말려서 치마허리도 감추지 못하니 더욱 괴상하다.” 이 대목은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 권16 인사문(人事門)에 나오는 것으로 당시 유행했던 ‘당코깃저고리’를 비꼰 말입니다.

조선 중기 이후 부녀자의 옷으로 유행했던 이 ‘당코깃저고리’는 앞 부분의 깃머리가 제비부리 모양으로 각이 지고, 소매 배래도 매우 좁으며, 등길이가 짧아 치마허리가 모두 보였습니다. 이 당코깃저고리를 입으면 대신 치마는 폭이 넓고 길며 풍성하게 입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모양의 저고리와 치마를 위는 담박하다 또는 가볍다, 천하다는 뜻, 그리고 치마는 ‘둥둥 뜨다.’라는 뜻의 ‘상박하부(上薄下浮)’라고 했지요. 한복은 이익은 당코깃이 아닌 저고리가 지나치게 짧음을 나무란 것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