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2. 지역에 따라 모양새가 다른 옹기는 과학작품

  • 등록 2007.01.18 06:46:31
크게보기

922. 지역에 따라 모양새가 다른 옹기는 과학작품

자연에 가장 가깝다는 그릇, 옹기는 우리 겨레가 삼국시대 이전부터 만들어 쓴 것으로 짐작됩니다. 그런데 그 옹기는 지역의 환경과 기후조건에 따라 다르게 만들었기 때문에 옹기의 모양새가 여러 가지입니다. 중부 이북에서 주로 사용되는 옹기는 보통 입 (口徑)과 키가 크고 배가 부르지 않습니다. 이는 일조량이 작고 기온이 높지 않은 때문에 장을 담글 때 자외선을 충분히 쪼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에 비해 기온이 높고 일조량이 많은 남부지방은 수분증발이 많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입을 좁게 만들고 대신 어깨를 넓게 함으로써 옹기 표면으로 복사열을 보다 많이 받아들이도록 했습니다.

이는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나도록 만들고, 어머니가 아침저녁으로 항아리를 닦아주어 옹기가 숨을 잘 쉬도록 한 것과 더불어 옹기에 담긴 우리 겨레의 과학입니다.


참고 :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박남일, 서해문집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