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5. 용비어천가에 정종이 빠진 까닭

  • 등록 2007.02.10 03:28:39
크게보기

945. 용비어천가에 정종이 빠진 까닭

세종임금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뒤 정인지, 안지, 권제 등에 명하여 훈민정음으로 지은 첫 작품 용비어천가를 펴냈습니다. 용비어천가의 펴냄은 훈민정음의 빠른 정착을 위한 것이 첫째 목적이었는데 그 구성을 보면 태조 이전의 조상인 목조 3장, 익조 9장, 도조 6장, 환조 2장이고, 태조가 80장, 태종이 21장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조선 2대 임금인 정종이 빠졌습니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요? 태종은 태조의 다섯째 아들인데 무력으로 임금이 되었고, 세종임금은 태종의 셋째아들입니다. 그래서 큰아들이 임금자리를 잇는다는 정통성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그 까닭으로 세종임금은 건국의 정당성, 조선의 정체성 확보와 왕권의 확립을 위해 용비어천가를 지은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걸림돌로 생각된 정종을 일부러 뺏을 것이라고 역사학자 이희근 박사는 말합니다.

참고 : “한국사 그 끝나지 않는 의문” (이희근, 다우)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