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공단-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친환경 포장문화 조성

  • 등록 2019.12.10 11:34:35
크게보기

제이디씨면세점, 포장봉투 친환경 생분해성 재질로 바꿔
과대포장 줄이기 위해 양 기관 협업체 구성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장준영)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사장 문대림)와 12월 10일 오후 제주시에 있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회의실에서 친환경 포장문화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친환경 포장문화 개선사업 수행 △협업체 구성 및 포장업체 대상 교육ㆍ자문 △친환경 기술개발 촉진ㆍ보급ㆍ유치 등 자원순환사업 추진 등이다.

 

두 기관은 지난해 7월 유통포장재 재질 개선을 위한 협의를 통해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운영하는 제이디씨(JDC) 면세점의 유통포장재(포장봉투)를 친환경 생분해성 재질로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올해 10월 약 5억 6백만 원의 예산을 들여 친환경 생분해성 포장재 제작에 착수했다. 올해 12월 중 제이디씨 면세점 내 포장봉투 교체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1월부터 포장봉투를 친환경 생분해 재질로 모두 바꾼다.

 

또한, 한국환경공단은 2020년 3월부터 과대포장 및 현장점검ㆍ자문 전문 인력을 투입해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실무진 등과 함께 협업체를 구성한다. 협업체 운영을 통해 제주도 내 포장업체 및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꼽은 상품 등을 대상으로 과대포장 저감 교육을 수행할 계획이다. 해당 교육에 참여가 어려운 영세업체 등에는 협업체가 현장에 직접 방문해 과대포장 저감에 관한 저감에 대한 조언도 해준다.

 

두 기관은 과대포장 및 유통포장재 저감에 대한 이해 문화 정착 홍보와 행사 개최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한다. 한국환경공단은 제주도 내 면세점의 친환경 생분해성 유통 포장재 배포 및 과대포장 저감 방안 등 폐기물 발생량 저감을 위한 홍보ㆍ교육 자료를 공유한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환경공단이 공유한 교육과 홍보자료를 제주도민에 나눠줄 계획이다.

 

또한, 내년 초에는 제주도 내 포장 업무담당자 교육을 통해 과대포장 문제해결 사례를 발표할 계획이다. 과대포장 문제해결과 관련된 내용을 사례집으로 배포해 포장업체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한편, 한국환경공단의 2017년 포장재 폐기물 생산량 집계 결과, 국내 생산 폐기물 약 252만 5천 톤(생산자책임재활용 대상 품목 기준) 가운데 포장재 폐기물이 65%인 약 1,64만 5천 톤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포장재 폐기물 발생량 현황: 1,507,370톤(’15년) → 1,595,676톤(’16년) → 1,645,681톤(’17년)

 

한국환경공단은 2002년부터 ‘과대포장검사’ 사업을 통해 과대포장에 노출된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전화ㆍ방문 상담과 자문을 수행 중이다. 2005년부터 2018년까지 4만 38건의 과대포장검사 및 포장 부적합 영세업체를 대상으로 친환경 포장 자문을 수행했다.

 

장준영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친환경 포장문화 정착을 위해 민ㆍ관의 상호협력과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라며, “이번 협약이 포장폐기물 발생 저감의 모범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한영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