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제 강제동원 명부, 디지털로 한 곳에서 본다

  • 등록 2019.12.25 11:24:01
크게보기

국가기록원,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명부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추진
2023년까지 통합 공개, 내년엔 노무자ㆍ군인, 군속 23만여 명 대상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명부를 통합해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일제 강제동원 관련 명부는 현재 국가기록원,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분산돼 보관 중이다. 이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고 통일된 정보 제공이 어려워 개인 피해현황 규명과 활발한 학술연구 지원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명부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과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와 자문단을 구성하고 2023년까지 ‘(가칭)강제동원 명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먼저, 1차연도인 2020년에는 약 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무자 1종, 군인ㆍ군속 1종의 명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노무자는 ‘조선인 노동자에 관한 조사 결과(6만9,766명)’, 군인ㆍ군속은 ‘유수명부(16만148명)’ 에 기재된 인원으로 모두2종 23만여 명분이다.

 

‘조선인노동자에 관한 조사 결과’는 일본기업에 동원된 조선인이 수록돼있는 명부로 일본 지역과, 기업별로 나뉘어 등재돼 있다. 명부 세부항목은 입소경로별, 이름, 생년월일, 본적, 직종, 입소연월일, 퇴소연월일, 미불금 등으로 모두 15권 분량이다. ‘유수명부(留守名簿)’는 원소속 부대에서 전쟁터 등으로 파견된 부대원의 명단으로 모두 114권 분량이다.

 

 

 

국가기록원은 단계별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완료하고 대국민 자료제공 서비스, 명부 관련 기획전시, 추진성과를 종합한 국제심포지엄 열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소연 국가기록원장은 “현재 국가기록원이 제공하는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명부 검색서비스는 성명, 생년월일, 사망 여부 등 최소 항목만 제공하는 한계가 있었다.”라면서 “다양한 정보 항목이 담긴 통합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피해자 규모, 강제성 등을 밝히는 후속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영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