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으로 함께 숨 쉬는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

  • 등록 2020.09.03 12:06:31
크게보기

국립무형유산원, 제7회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 무관객 온라인 개최 9.11.~13.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여는 「2020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IIFF)」가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무관객 온라인 영화제로 진행된다.

* IIFF(이프): International Intangible heritage Film Festival

 

올해 7회를 맞는 「2020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는 ‘숨, 쉼’을 주제로 하여 코로나19 확산의 장기화로 지친 국민이 마음의 휴식과 위안을 얻을 수 있도록 무형유산만의 독특한 아름다움과 현장감이 담긴 다채로운 작품들을 마련하였다. 이번 축제는 정부혁신 차원에서 온라인 영화제로 전환함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네이버TV)으로 만나볼 수 있다.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작인 판소리 뮤지컬 영화 <소리꾼>을 시작으로 모두 16개국 26편의 영화들이‘헤리티지스트림’, ‘이프포커스’, ‘마스터즈아리랑’, ‘이프단편’, ‘이프VR’, ‘특별상영’ 6개 부문으로 관객들에게 소개된다. 아울러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침묵 : 리스본의 소리>가 폐막작으로 상영된다. 개막식은 11일 밤 8시, 폐막식은 13일 저녁 5시에 온라인 플랫폼(네이버TV)에서 방영된다.

 

‘헤리티지스트림’ 부문은 전 세계 다양한 무형유산을 다룬 영화를 뽑고 전문해설을 곁들여, 더욱 쉽고 재미있게 작품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재즈 세계를 담은 다큐멘터리 <허비 행콕: 무한한 가능성> 상영 뒤 ‘스위스몽트뢰재즈페스티벌의 기록유산과 음악리코딩’에 관한 해설영상이, 폐막작인 <침묵 : 리스본의 소리> 상영 전에는 포르투갈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파두’에 관한 전문해설이 진행될 예정이다.

 

올해의 주제전 ‘이프포커스’ 부문은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 전염병 유행을 인류 모두가 경험하는 지금에 비추어 ‘숨과 생명, 치유와 쉼’을 바탕으로 한 영화들을 상영한다. 이 가운데 <의사의 땅, 칼라와야의 비밀>은 무형유산의 전승 현장을 촬영한 다큐멘터리로 안데스의 칼라와야 부족의 오랜 의학지식과 전승 체계를 면밀히 담고 있어 오늘날 문명의 결과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되짚는다. 또한, 안데스의 고유한 전통문화와 전설을 다룬 <안데스의 노래>를 만나는 특별한 기회도 가진다.

 

 

 

 

‘마스터즈아리랑’ 부문에서는 국내 필름 디지털 복원작 가운데 최하원 감독의 문예영화 세 편을 함께 만난다. 당대 문예영화 표현의 경계를 과감히 넓힌 최 감독의 데뷔작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포함하여 <독짓는 늙은이>, <무녀도> 세 편의 영화가 상영된다. 상영 후에는 오동진 평론가가 진행하고 최하원 감독, 김종원 평론가가 함께하는 온라인 ‘마스터 클래스’와 ‘관객과의 대화’가 진행된다.

 

‘이프단편’ 부문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의 기획 제작 콘텐츠 <씨름, 분단을 넘어 세계를 잇다>와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의 기록영상 신작으로 인도네시아의 전통악기 ‘가믈란’과 전통춤을 다룬 ‘타리 발리’, 베트남 따이족의 전통 의식 ‘킨팡텐 축제’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만나볼 수 있다. 한편, 무형유산과 문학 소재의 한국 단편 만화 <운수 좋은 날>, <소나기>, <찔레꽃>, <안녕>이 소개된다.

 

‘이프VR’ 부문에서는 무형유산과 VR(가상현실)을 접목하여 <맹인검객 심학규>, <붉은 바람> 등을 선보인다. 또한, 2020년 EBS국제다큐영화제의 ‘다큐 속 무형유산’ 부문 중 <기생, 꽃의 고백>, <아네르카, 생명의 숨결> 두 편을 ‘특별상영작’으로 만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2014년부터 매년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를 열어, 영상이라는 친근한 매체로 우리 삶 곳곳에 녹아있는 무형유산을 친근하게 누릴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