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 궁중이나 양반가의 신부가 드리운 도투락댕기

  • 등록 2007.04.29 12:12:26
크게보기

1019. 궁중이나 양반가의 신부가 드리운 도투락댕기

머리를 장식하기 위하여 머리끝에 드리우는 헝겊을 ‘댕기’라고 합니다. <북사> ‘열전’이나 고구려 고분벽화 등에 보면 백제, 고구려, 신라 모두 댕기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도투락댕기’는 궁중이나 양반가에서 신부가 원삼이나 활옷의 혼례복을 입고, 족두리나 화관을 쓸 때 쪽진 머리의 뒤쪽에 붙여 길게 늘어뜨린 뒷댕기입니다. 너비가 10센티미터 정도로 보통 댕기보다 넓으며, 길이는 치마보다 약간 짧고, 두 갈래로 되어 있는데 수(壽), 복(福), 귀(貴), 희(囍), 수복강녕(壽福康寧), 부귀다남 (富貴多男) 등의 길상문자를 수놓거나 금박으로 새기거나 칠보, 옥, 진주 등 패물을 달기도 합니다. 도투락댕기는 ‘도다익당지(都多益唐只)’라고도 하는데 이를 만드는 도다익장(都多益匠)은 공조에 2명, 상의원에 2명씩 소속되어 있었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