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의선사 이래 우리 차 문화의 계보 보여줘

2021.01.07 12:39:47

박동춘, 조선후기 초의선사 관련 자료, 국립광주박물관에 기증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 기증유물 : 청량산방시회축(淸凉山房詩會軸) 등 169건 364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수미)은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 관련 고문서 등 169건 364점을 박동춘(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장)에게서 기증받는다. 기증식은 2021년 1월 7일 국립광주박물관 소강당에서 열린다.

 

박동춘 기증 문화재의 성격

 

기증유물의 주축을 이루는 것은 초의선사와 교유했던 인물들이 초의에게 보낸 편지와 시축이다. 초의선사는 수행승이자 차문화를 부흥시켜 ‘초의차’를 완성한 인물로서, 홍현주(1793~1865), 신위(1769~1845), 박영보(1808~1872), 정학연(1783~1859), 권돈인(1783~1859), 황상(1788~1863), 변지화(?~?), 허련(1808~1893) 등 이름난 학자와 문인ㆍ예술가ㆍ스님과 교유하였다. 기증유물을 통해 초의선사를 중심으로 전개된 당대 지식인들의 개인사와 각종 사건, 차에 대한 인식 등을 읽을 수 있다. 특히 초의차를 예찬한 박영보의 <남다병서첩(南茶幷序帖>과 박영보의 스승인 신위의 <남다시병서(南茶詩幷序)>는 당시 사대부가 가졌던 차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준다.

 

 

 

또한, 초의선사의 육필 저술과 원본에서 베낀 문헌 등 매우 귀중한 문화재가 기증되었다. 초의선사 친필의 <참회법어첩(懺悔法語帖)>, <직지원진(直指原眞)> 등이 주목되는데, <직지원진>은 풍수지리서로 초의선사가 풍수지리에 능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이 밖에 초의선사의 다풍을 보여주는 다구 등이 기증되었다.

 

초의선사 이후 다풍의 계보와 박동춘 기증품

 

박동춘 기증품은 초의선사 이래 5대째 이어지는 다풍의 계보를 보여준다. 초의선사는 선교융합 수행에 힘쓴 수행승으로, 수행과 더불어 선다(禪茶) 정신을 이은 차를 탐구하여 쇠락해졌던 차문화를 일으켰다. 《동다송(東茶頌)》, 《다신전(茶神傳)》과 같은 다서(茶書)를 펴내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고, 정통 제다법으로 ‘초의차’를 완성했다. 아울러 김정희(1786~1856), 정약용(1762~1836)과 그의 아들 정학연(1783~1859), 허련(1808~1893) 등 당대 이름난 사대부ㆍ스님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차문화 확산의 중심축 역할을 했다.

 

 

 

초의선사의 다풍은 범해(梵海), 원응(圓應) 스님에게 계승되었고, 응송 박영희(1893~1990) 스님이 이어받았다. 응송은 1937년 대흥사 주지로 취임하여 20여 년 동안 봉직하였다. 불교정화운동(1954~1962) 이후 백화사에 머물며 차와 선리(禪理) 연구에 매진했고, 특히 초의선사 관련 자료와 차 연구에 힘을 쏟았다. 이후, 초의선사와 차 관련 문헌 자료를 1985년 제자 박동춘(1953~)에게 물려주며 연구를 부탁했다.

 

박동춘은 1979년 응송과 학연을 맺으며 차와 불교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1985년 응송에게 전다게(傳茶偈)를 받아 초의- 범해- 원응- 응송으로 이어지는 다풍을 계승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에서 『草衣禪師의 茶文化觀 硏究』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1년 설립한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로 초의선사 관련 연구에 집중하며, 응송에게 전수한 초의선사의 제다법으로 차를 만들어 전통차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작업 또한 병행하고 있다.

 

 

 

기증유물은 박동춘이 응송에게 전해 받은 자료와 그가 초의선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집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박동춘 기증자는 “차를 비롯한 조선후기 문화의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박물관을 찾는 분들께서 우리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기증문화재의 앞으로 활용 계획

 

박동춘 기증유물은 19세기 초의선사를 비롯해 그와 교유한 인물들의 정황은 물론 조선후기 차문화, 풍속, 종교, 문화 등을 풍성하게 담고 있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이번에 기증받은 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차 문화의 연원과 계보를 연구하고 동아시아 차문화 연구사업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도서 펴냄과 전시로 그 성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기증은 도자문화거점박물관을 지향하는 국립광주박물관이 우리의 차문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우리 문화의 원형을 국내외적으로 알리는데 중요한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성훈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