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3. 조선시대 서당에선 무엇을 배웠을까?

  • 등록 2007.09.10 02:57:00
크게보기

1133. 조선시대 서당에선 무엇을 배웠을까?

조선시대는 서당이 기초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이었지요. 그 서당에서는 “하늘 천, 따 지”를 외우는 천자문을 맨 먼저 배웠음은 누구나 아는 일입니다. 이후 천자문을 떼고 나면 동몽선습과 명심보감을 배우게 됩니다. ≪동몽선습(童蒙先習)≫은 조선 명종 때 학자 박세무가 쓴 책으로 오륜을 풀이하고, 중국과 조선의 역사를 간략하게 썼습니다. 또 ≪명심보감(明心寶鑑)≫은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이 중국 고전에서 보배로운 글 163항목을 가려서 모아 놓은 책입니다.

서당에서 공부하는 어린이들은 ≪동몽선습(童蒙先習)≫을 통해 오륜을 중심으로 인간의 윤리를 배우고, ≪명심보감(明心寶鑑)≫으로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도리를 배웁니다. 학문을 하든 정치를 하든 마음의 바탕이 올바르게 되어 있어야 한다는 당시의 교육관을 엿볼 수 있지요. 적어도 조선시대에는 지금처럼 명문대학을 가고 출세를 하도록 유치원과 초등학교 때부터 하는 지식 밀어넣기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